|
안산시는 학생 100명당 학원 수가 경기도 대도시 평균에 비해 낮고 학원의 지역 집중화로 사교육 접근성에 편차가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질의 강의 서비스를 도입하는 방안을 택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안산시에 따르면 10월 말 현재 안산에는 총 110개의 학교(3258개 학급)가 소재해 있다. 이중 초등학교가 54개, 중학교가 30개, 고등학교가 24개, 특수학교가 2개다. 반면 안산시에 등록된 전체 학원 수는 1225개로 집계됐으며,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특수학교까지를 모두 포함한 안산시의 전체 학생 수는 6만9880명에 달한다.
학생 100명당 학원 수는 1.75개로, 경기도 31개 지자체 가운데 19위에 해당한다. 이는 경기도 내 인구 50만 명이상 도시 평균(2.24개)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와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 발췌 자료에 따르면, 안산시 내 초·중·고등학교는 동별로 고르게 분포돼 있다. 하지만 학원의 경우 고잔동, 본오동, 사동 등 일부 지역에 절반 이상(53.7%)이 몰려 있어, 사교육 접근성의 동별 편차가 존재한다.
학원 밀집 지역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이용이 쉽지만, 그 외 지역 학생들은 사교육 선택의 폭이 좁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실제로 일부 학부모들은 안산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대형 입시학원 밀집 지역인 평촌, 목동, 강남권으로 통학시키는 경우가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대두되고 있다.
안산시는 잘 갖춰진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공유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고품질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지역 간 불균형까지 해소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안산시는 지난달 서울 강남구와 '강남인강'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제공하는 전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이달부터 7개 학교가 시범운영에 들어가고 내년도부터 관내 중학생과 고등학생 4000여 명이 이 플랫폼을 통해 강의를 수강할 수 있게 된다.
업무협약으로 안산시 학생들은 강남구가 제공하는 1500여 개의 강좌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5만원이던 수강료가 시의 지원으로 1만원만 본인이 부담하면 된다.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감면 대상 학생들은 전액 지원을 받아 무료로 수강할 수 있다.
이 시장은 "온라인 교육지원 사업을 통해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을 경감시키고,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교육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학생 개인별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 강화에 있어서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안산시는 매년 7월 고3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안산 맞춤형 입시설명회'를 개최하며 체계적인 대입 준비를 지원하고 있다. 변화하는 대입 제도 속에서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적시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맞춤형 학습 전략 수립을 돕기 위한 취지다.
또한 학생 개인별 특성 파악과 진로 결정 지원을 위한 '진로·진학상담센터'도 상시 운영한다. 내년부터 관내 상록구와 단원구에 각각 1개소씩 설치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3 수험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중 운영할 예정이다.
센터는 고입·대입 진학, 진로 전공 탐색, 학생부 관리, 면접 준비, 자기소개서 작성, 학부모 진학교육 등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진로 및 입시 상담과 학습법 코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안산시는 센터 도입과 함께 학생 개인의 특성과 미래 설계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 지원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민근 시장은 "수험생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적시에 정확한 정보를 얻어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수험생과 학부모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기회의 장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