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전 상임위원장은 노동당 국제부와 외무성에서 활약한 정통 외교관 출신으로, 김일성 집권 시기부터 외교 요직을 두루 거쳤다. 특히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 권력 체제의 변화 속에서도 고위 간부라면 누구나 한 번씩 경험하는 좌천과 혁명화를 한 번도 거치지 않은 인물이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4일 조의문을 통해 "김영남 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부고를 접하고 애도의 뜻을 표한다"며 "남북대화의 물꼬를 트는 데 기여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2005년 6월과 2018년 9월 두 차례에 걸쳐 평양에서 김 전 상임위원장을 만나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었던 기억이 난다고 언급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북측 관계자 여러분께도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했다.
정부는 그간 북측 고위인사의 사망 때 조전(전통문)을 세 차례 북측에 발송한 바 있다. 그러나 북한의 남북 통신선 단절로 이번에는 수신자 언급 없이 장관 명의의 조의문이 발표됐다. 2005년 10월 당시 남북 장관급회담의 남측 수석대표였던 정 장관은 연형묵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사망하자 북측에 전통문을 보냈다. 정부가 북측인사 사망에 대해 공식 조전을 보내 조의를 표명한 최초의 사례였다.
조선중앙통신은 4일 "영광스러운 우리 당과 국가의 강화발전사에 특출한 공적을 남긴 노세대 혁명가인 김영남 동지가 97살의 일기로 암성중독에 의한 다장기부전으로 서거했음을 전체 당원들과 인민들에게 알린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그는 지난해 6월부터 대장암으로 치료를 받아왔다.
김 전 상임위원장의 장례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와 내각 결정에 따라 국장으로 치러진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4일 새벽 1시 주요 간부들과 함께 김영남의 시신이 안치된 평양시 보통강구역 서장회관을 찾아 조문했다. 조문은 4일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이뤄지며 5일 오전 9시 발인한다. 우리측 조문단 파견은 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