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수도권 집값 2.0%↑·지방 0.5%↓…내년에도 부동산 ‘양극화’ “더 벌어진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4010001707

글자크기

닫기

김다빈 기자

승인 : 2025. 11. 04. 14:50

건산연 “수도권 공급 부족 압력·수요 집중, 양극화 주된 요인”
전국 전셋값도 4% 급등 가능성…“정책 신뢰 회복 시급”
건설경기, 공공 중심 수주 늘지만…민간 회복 ‘지연’ 우려
이미지
서울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정부가 최근 연속적인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내년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 심화'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건설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가 예측되지만, 공공이 주도하는 수주 확대에 그칠 뿐 민간 부문의 회복은 더딜 것이란 분석도 적지 않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각종 부동산 정책을 발표했지만, 여전히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 건설 경기 침체 등 저성장·고비용·고위험의 구조적 위기에 봉착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앞서 9·7 대책을 통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직접 주택사업을 추진해 향후 5년간 수도권에 총 135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10·15 대책에서는 서울 전역과 과천·분당 등 경기 12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이른바 '삼중 규제'를 시행하며 수도권 집값 안정을 꾀했다.

그러나 공급 확대에도 불구하고 △민간의 사업성 위축 △공사비 상승 △규제 강화 등으로 수도권 집값 하락 및 전국 부동산 시장 회복은 더딘 수준이 될 것이란 우려가 큰 상황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도 이날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를 열고 이를 지적했다. 건산연은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0.8%, 전셋값이 4.0%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수도권 매매가격은 2.0% 상승이 예상되는 반면, 지방은 0.5% 하락할 것으로 분석돼 지역 간 격차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성환 건산연 연구위원은 "누적된 공급 부족 압력과 수도권 수요 집중이 주된 요인"이라며 "공공택지 확대·공공 직접시행 등 정부의 공급정책이 이어지고 있지만, 실제 체감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높은 공사비와 각종 규제로 인해 공급 제약 우려가 여전하다"며 "이에 수도권과 지방 핵심 입지 중심으로만 수요가 몰리며, 동일 지역 내에서도 완판 단지와 미분양 단지가 공존하는 양극화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김 연구위원은 "전세시장은 신규 입주 감소와 실거주 수요 증가로 전국에서 4%라는 높은 상승폭을 기록할 것"이라며 "주택시장 개선을 위해 3기 신도시와 공공주택의 조기 공급, 민간 사업성 제고, 금융 접근성 강화, 지방 정주 여건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 정책 신뢰 회복과 수요 맞춤형 전략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건산연은 올해 국내 건설산업이 '저성장·고비용·고위험'의 구조적 위기에 직면했다고도 진단했다. 실제 미분양 주택은 6만7000가구를 넘어섰으며, 공사 완료 후 미분양은 2만7000가구로 13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 건설공사비지수와 PF대출 연체율 역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건산연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미래 수요 대응 △산업생태계 혁신 및 기술 내재화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가치 창출 등을 제시했다.
김다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