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치플랫폼·커머스 등 AI로 고른 성장
내년 피지컬 AI 시장 진출 본격화
![]() |
| 자료=네이버 / 그래픽= 박종규 기자 |
네이버가 올해 3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AI(인공지능) 중심의 성장 전략을 본격화했다. AI 기반 광고 효율화와 커머스 수수료 개편, 멤버십 확장 등이 맞물리면서 전 부문 고른 성장을 이뤘다. 네이버는 내년 '쇼핑 AI 에이전트' 출시를 시작으로 통합 AI 탭, AI 에이전트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GPU(그래픽처리장치) 투자 규모를 연간 1조원 이상으로 확대해 산업 맞춤형 '피지컬 AI' 시장 진출에 나설 계획이다.
5일 네이버는 3분기 연결 기준 3조1381억원, 영업이익 5706억원, 순이익 734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6%, 영업이익은 8.6% 증가한 수치로, 분기 기준 처음으로 매출 3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새로 썼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AI를 서비스 전반에 적용하는 '온서비스 AI' 전략이 비즈니스 성장과 수익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며 "AI 에이전트 시대에 맞춰 검색·커머스·핀테크·엔터프라이즈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서치플랫폼은 매출 1조602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성장했다. 최 대표는 "AI 브리핑이 전체 검색 쿼리(검색결과)의 15%에 적용돼 이용자 만족도가 높아졌고 홈피드와 클립의 일평균 이용자가 1000만명에 안착했다"며 "광고 효율 개선으로 네이버 플랫폼 광고 매출이 10.5% 증가했다"고 밝혔다. 실제 AI 브리핑 도입 이후 연관 질문 클릭 수가 5배 늘고, 맛집·지역정보 플레이스 노출 CTR(클릭률)은 2.3배, 예약·주문 전환율은 15% 증가했다.
핀테크 매출은 4331억원으로 전년보다 12.5% 늘었고, 결제액은 22조7000억원에 달했다. 외부 결제 비중은 55%로 상승했다. 김희철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증권플러스 비상장 인수로 투자 접근성을 높였으며 온·오프라인 가맹점을 연결하는 커넥트 단말기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콘텐츠 부문은 5093억원으로 10% 성장, 향후 디즈니와의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을 통해 스타워즈·픽사 등 IP 기반 신규 플랫폼을 선보일 계획이다.
엔터프라이즈 부문은 GPUaaS(서비스형 GPU) 매출 발생으로 1500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는 사우디 주택부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슈퍼앱·디지털트윈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태국·모로코 등지에서도 AI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최 대표는 "한국은행·한수원 등 주요 기관과 산업별 AI 모델 협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반도체·조선·방산 등 제조업 중심의 산업 AI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