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국 서점 감소 시대” 전주는 동네서점 25% 성장 ‘주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6010003060

글자크기

닫기

전주 박윤근 기자

승인 : 2025. 11. 06. 10:35

'책쿵20' 등 혁신 정책으로 전주시 동네서점 활성화 성공
지역서점 2021년 76곳에서 현재 95곳으로 늘어
dsdfsfsfsfs
전주시 예술서점 '물결 서사'
최근 전국적으로 지역서점의 폐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전주시는 오히려 동네서점이 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전주시는 지난 2021년 기준 76곳이었던 지역서점이 올해 현재 95곳으로 늘어나 약 25%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특히 전주지역에는 자체적으로 문화 행사를 운영하거나 다양한 개성을 가진 동네책방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러한 동네책방은 지난 2021년 10곳에서 올해 현재 19곳으로 90% 늘어났다.

그 결과 도서관 이용과 서점 방문을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가 자리 잡으며 책을 읽고 서점을 찾는 새로운 독서 흐름이 만들어졌다.

그 중심에는 '전주책사랑포인트 책쿵20' 제도가 있다. 지난 2021년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전주시립도서관에서 책을 빌릴 때 권당 50포인트가 적립되고, 동네서점에서 도서를 구매할 때 도서 정가의 20% 할인과 함께 대출로 적립된 포인트를 도서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책쿵20' 서비스에 가입한 시민은 약 3만3500명으로, 이들이 구매한 도서는 총 54만5000권에 달한다. 책쿵20을 통해 올해만 약 22억5000만원 규모의 도서가 지역서점을 통해 판매되면서 시민의 독서 참여 확대는 물론, 지역서점 매출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 시가 운영하는 '전주도서관여행' 코스에도 동네책방들이 포함돼 시민과 책 여행자들은 '도서관해설사'와 함께 도서관과 복합문화공간을 둘러보며 책을 통해 도시를 '읽는 여행'을 즐기고 있다. 이 여행을 통해 책 문화를 즐기는 방문객이 자연스럽게 동네서점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등 지역서점과의 연계 효과를 높이고 있다.

동네서점인 '청동북카페' 대표는 "손님들이 책방 곳곳에 비치된 책 소개 메모를 읽고 책을 고른 후,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바로 책을 읽을 수 있는 점에 만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청동북카페 외에도 △'잘 익은 언어들'(인후동): 책방지기가 직접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선별하고 선보이는 큐레이션 △'책방 토닥토닥'(전동): 인권·독립출판물을 중심으로 활발한 독서모임과 문화행사를 이어가며 남부시장 청년몰의 명소 △'프롬투'(중앙동): 지도와 여행을 주제로 동네책방, 방문자가 직접 작성한 '장소 기록 카드' 전시 운영 등 각 서점이 독특한 문화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과가 동네서점이 지속가능한 문화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을 추진해 온 결과물로 분석하고, 앞으로도 로컬 북페어와 지역 작가 연계 프로젝트 등 시민이 일상에서 책과 문화를 더 가까이 만날 수 있는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를 통해 동네서점이 없어지는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출판 분야를 포함해 문학과 관련된 지원 방안을 강구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박남미 전주시 도서관평생학습본부장은 "전주 동네서점의 성장은 지역문화의 힘을 보여주는 사례"며 "전 국민이 도서관과 동네책방, 북카페 등 책과 문화를 누리는 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박윤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