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 셧다운 39일째…항공편 1400여편 결항·6000편 지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9010004328

글자크기

닫기

남미경 기자

승인 : 2025. 11. 09. 13:30

숀 더피 교통부 장관 "항공편 최대 20%까지 감축할 수도"
화면 캡처 2025-11-09 131156
관제탑을 지나고 있는 항공기 /AP 연합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39일째 이어지면서 항공 관제 인력이 크게 줄었고, 이로 인해 미국 전역에서 항공편 취소와 지연이 폭증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8일(현지시간) 기준 미국 전역에서 항공편 1460편이 취소되고 약 6000편이 지연됐다. 이는 전날 기록(취소 1025편·지연 7000여 편)에 이어 이틀 연속으로 대규모 운항 차질이 발생한 것이다. 일부 공항은 사실상 '절반 마비' 수준이라는 평가까지 나온다.

항공기 운항 조정의 직접 원인은 항공관제사 출근율 급감이다. 연방항공청(FAA)은 셧다운 장기화로 급여가 지급되지 않자 관제사 결근이 늘고 남은 인력도 과로 상태에 놓였다고 설명했다. FAA는 안전 문제를 이유로 미국 40개 주요 공항의 항공 운항을 최대 10%까지 단계적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혼잡도가 높은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는 항공편 지연 시간이 평균 4시간 42분(282분)까지 늘었다. 운항 감축 대상에는 뉴욕·시카고·애틀랜타 등 주요 허브공항이 포함되며, 아메리칸·델타·유나이티드·사우스웨스트 등 대형 항공사가 모두 영향을 받고 있다.

숀 더피 미 교통부 장관은 "관제사 출근 인원이 더 줄어들면 항공편을 최대 20%까지 감축해야 할 수 있다"며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FAA 청장 브라이언 베드포트는 지난주 일부 관제소에서 관제사의 20~40%가 출근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관제사의 안전·피로도를 이유로 '최후 수단'이었던 운항 제한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상황이다.

셧다운 사태는 예산안 합의가 지연되면서 이날로 39일째를 맞았다. 공화당 존 슌 상원 원내대표는 협상이 "긍정적 전환점을 맞았다"고 밝혔지만, 구체적 합의안은 발표되지 않았다. 상원은 9일에도 이례적으로 회의를 열어 셧다운 종료 방안을 논의한다.

미국 전역의 항공 운항이 영향을 받는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러나 FAA가 전국 단위 운항 감축 계획을 공식 발표한 것은 이례적으로, 셧다운이 항공안전 문제로 번지기 시작했다는 신호라는 분석이 나온다.
남미경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