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는 수도권 도심의 노후 공공청사 부지를 활용해 복합 거점형 모델 개발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정부 9.7 주택공급 확대 방안의 후속 조치다. 복합개발 모델은 주거시설과 행정·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한 건물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지역 개방형 생활공간이자 도심형 복합생활거점으로 조성된다.
아울러 LH는 복합개발 사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전담 TF'를 신설한다. 복합개발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며면서 △국토부·LH·지자체 간 협력체계 지원 △신규 사업지 발굴 △복합 유형별 사업모델 수립 △관련 제도·법령 개선 지원 등 사업 속도와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업무를 전담 수행한다.
LH는 노후청사 복합개발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총 28개 지구 4956가구를 준공한 바 있다.
작년 9월에는 서울 강동구에 기존 노후 주민센터 부지를 활용해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를 건립했다. 청사는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로, 지상 1층~6층에는 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경로당,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이 배치됐다. 7층부터 14층에는 공공임대주택 94가구가 들어섰다.
강오순 LH 지역균형본부장은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은 주거공급 확대, 노후 공공자산 활용,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사업모델"이라며 "전담 조직도 신설한 만큼, 노후 공공청사 개발사업 속도를 높여 수도권 도심 내 주택공급을 빠르게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