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중 수출, 3개 분기 연속 감소
수출 상위 10대 기업 의존도 '역대 최대'
|
국가데이터처가 10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수출액은 185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수출이 1223억 달러로 작년보다 5.1% 늘었다. 중견기업(323억 달러)과 중소기업(298억 달러)도 각각 7.0%, 11.9% 증가했다.
이 같은 수출 증가는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부품과 선박 등 수송장비 수출 호조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별로 보면 전기전자, 운송장비 등 광제조업(8.0%) 중심의 수출 증가세가 뚜렷했다. 재화 성질별로는 반도체, 선박 등에서 수출이 증가하면서 자본재가 11.2% 급증했다. 소비재도 자동차 등 증가에 힘입어 4.9% 늘었다. 반면 원자재는 석유화학제품, 철강 등에서 감소하며 1.9% 줄었다.
3분기 수입액은 1624억 달러로 전년보다 1.5% 늘었다. 대기업 수출이 0.9% 감소한 949억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중견기업(284억 달러)과 중소기업(374억 달러)은 각각 4.6%, 8.5%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미국(-3.9%), 중국(-1.8%), 일본(-2.1%) 등 주요 시장에서 수출이 줄었다. 특히 대미 수출은 올해 1분기(-2.1%) 감소세로 돌아선 후 3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다. 중국 수출도 1분기 -6.8%에 이어 2분기 -2.5%, 3분기까지 잇따라 감소했다. 반면 동남아(17.4%), 유럽연합(EU·5.8%), 독립국가연합(CIS·28.0%) 등 신흥·유럽권 시장으로의 수출은 확대됐다.
수출 상위 10대 기업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무역집중도)은 40.0%로 전년 동기 대비 2.6%포인트(p) 올랐다. 이는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수치다. 상위 100대 기업 비중은 67.6%로 0.2%p 낮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