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체중조절 시도 65%…체형 인식 왜곡 뚜렷
“비만은 암 유발의 출발점…생활습관 개선이 핵심”
|
10일 질병청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성인 비만율은 34.4%로 10년 전(26.3%) 대비 약 30.8% 증가했다. 이는 성인 약 3명 중 1명이 비만 상태라는 의미다.
남성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았다. 남성의 경우 사회생활이 활발한 30대(53.1%)와 40대(50.3%)에서 비만율이 높았으며, 여성은 60대(26.6%)와 70대(27.9%)에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은 스스로 비만이라고 답했다. 전체 성인 중 54.9%가 자신이 비만이라고 답했으며, 실제 비만자 중 비만 인지율은 남성 77.8%, 여성 89.8%로 나타났다. 비만이 아닌 사람 중에서도 여성 28.2%, 남성 13.0%가 자신을 '비만'으로 인식해 여성의 체형 인식이 더 왜곡된 것으로 조사됐다.
체중조절 시도율 역시 높았다. 전체 성인 중 약 65%가 체중을 줄이거나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비만자는 남성 74.7%, 여성 78.4%가 체중조절을 시도했으며, 비만이 아닌 사람 중에서도 남성 42.0%, 여성 64.6%가 체중조절을 시도해 여성이 남성보다 약 1.5배 높았다. 고령층일수록 체중조절 시도율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전남과 제주가 각각 36.8%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29.1%로 가장 낮았다. 10년간 비만율 추이를 보면 전국 17개 광역시·도 모두 상승했으며, 전남은 2015년 25.4%에서 2024년 36.8%로 11.4%포인트(p) 올라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울산과 충남이 그 뒤를 이었으며, 세종(2.9%p), 대전, 강원은 상대적으로 완만했다.
질병청은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비만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체중감량을 위한 식이조절 권장사항을 제시됐다. 단백질은 체중 1㎏당 1~1.5g 섭취를 권장하며, 여성 800㎉·남성 1000㎉ 미만의 초저열량식은 피해야 한다. 운동은 숨이 차고 땀이 날 정도의 중강도 이상 유산소운동을 주 150분 이상, 근력운동은 주 2회 이상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비만은 여러 만성질환의 선행 질환으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통계를 바탕으로 근거 중심의 건강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영숙 인제대학교 가정의학과 교수는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늘어난 상태가 아니라, 대사·호르몬·면역 기능의 변화를 통해 암 발생과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사회적·정책적 노력이 병행된다면 비만과 암을 함께 예방하고 국민 건강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