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00개 지자체 참여 561가구 수리
"농어촌 공동체 활성화 제고 목표"
|
지난 4일 경북 경산시 진량읍 현내리 일대. 이곳에서는 농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집 고치기 지원사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민간 자원봉사자들은 영상 10도(℃) 안팎의 날씨에도 창문 교체, 내부 정리 등을 진행하며 구슬땀을 닦고 있었다.
이날 방문한 현장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농촌 취약계층 주거개선 사업' 대상지 중 하나다. 창고형 건물을 주거용도로 사용하다 보니 외풍이 심하고 부엌과 화장실도 마련돼 있지 않았다. 현장 봉사자들은 창문 새시(sash) 작업을 통해 바람을 막고, 내부 단열을 위한 자재를 옮기고 있었다. 전기 보일러, 도배, 바닥 시멘트 등 작업도 순차적으로 예정돼 있었다.
경북 고령군 개진면 일대에 위치한 곽대연씨(80)의 집은 해당 사업을 통해 지붕수리를 받았다. 기존에 노후화로 비가 세던 슬레이트 지붕을 기와로 덮었고, 방수 작업도 진행했다. 인근 용성면에 거주 중인 윤상만(91)·이분자(85) 부부의 집은 지붕과 창문 작업을 동시에 실시했다. 농촌에 있는 오래된 집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외풍 및 누수 문제를 해결했다. 이분자씨는 "수리 전에는 바람이 들어와 춥고 발도 시렸다. 지붕에 비가 새는 탓에 두꺼비집이 내려가기도 했다"며 "잘 고친 덕분에 이번 겨울은 외풍 없이 따뜻하게 보낼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농식품부는 지난 2015년부터 농촌에 거주하는 △수급권자 △차상위계층 △소년소녀가장 △독거노인 △한부모가정 등 저소득 가구(임차인 포함)를 대상으로 주거개선 사업을 진행 중이다. 주택의 노후·불량 정도 및 수리 범위에 따라 가구당 700만원 한도로 지원하고, 지붕 개량 등이 필요할 경우 최대 850만원까지 공사비를 보조한다. 사업비는 국비 80%, 지방비 20%로 구성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지역 취약계층의 노후·불량 주택 수리 봉사를 지원해 안전하고 위생적인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라며 "농어촌지역 공동체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올해는 전국 100개 시·군·구가 참여하며 관할 내 561가구 수리가 예정돼 있다. 대학생봉사단·일반기업봉사단 등 101개 단체에서 약 1700명이 봉사자로 참여한다.
사업 시행 첫해부터 올해까지 실적을 보면 누적 1206개 봉사단체에서 약 2만4733명이 집 고쳐주기 활동을 수행했다. 이들의 손이 닿은 가구는 전국 6741곳에 달한다.
사업 시행 주체는 '다솜둥지복지재단'으로 전국 사업 대상지 확인 및 봉사단체 매칭을 주선하고 있다. 사업에 참여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대상 가구를 선정하면 다솜재단이 현장실사 등을 통해 공사비용 산정 등을 진행한다. 이창호 다솜재단 팀장은 "농촌에 집 수리가 필요한 차상위계층 등 어려운 분들이 많다"며 "예산이 부족한 경우에는 봉사단체 후원금 등을 통해 추가 공사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업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농식품부가 지난해 사업 수혜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삶의 질 향상 만족도 조사'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 만족도가 기존 3%에서 88.3%로 올라갔다. 삶의 만족도 역시 10%에서 90.2%로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설문에 참여한 461가구는 모두 2023년에 지원사업 혜택을 받았다.
농식품부는 농촌을 삶터·일터·쉼터로 전환하기 위한 마중물 활동으로 주거개선 사업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김소형 농식품부 농촌재생지원팀장은 "(본 사업은) 단순한 주택 정비를 넘어 대학봉사단·지역 단체 등이 함께 참여해 농촌 취약계층의 주거환경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공동체에 온기를 불어넣는 뜻깊은 사업"이라며 "모두가 안전하고 따뜻하게 살아갈 수 있는 농촌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