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 못한 이유 1위 '능력 부족'
노후 지원 정책, '소득지원' 가장 많이 꼽아
|
11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19세 이상 인구 가운데 71.5%가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가운데 58.5%는 국민연금으로 노후를 준비한다고 답했다. 이어 예금적금(16.9%), 직역연금(8.1%), 사적연금(5.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이유로는 '준비할 능력이 없음'(37.9%)이 가장 많았고, '앞으로 준비할 계획'(35.2%), '아직 생각 안 함'(19.0%) 등 순이었다.
60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생활비 마련 주체는 '본인·배우자'가 79.7%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자녀·친척 지원'(10.3%), '정부·사회단체 지원'(10.0%)이 뒤를 이었다. 본인·배우자 부담은 증가 추세인 반면, 자녀·친척 지원은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본인·배우자 부담은 줄고, 정부나 사회단체 지원 비중이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활비를 본인·배우자가 부담하는 경우, 근로·사업소득(57.8%)으로 마련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연금·퇴직급여(31.0%), 재산소득(6.7%)이 뒤를 이었다.
국민들이 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본 노후 지원 정책으로는 '노후 소득지원'(34.2%)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의료·요양보호 서비스'(30.6%), '노후 취업 지원'(23.8%)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하가 노후 소득지원을, 60대 이상은 의료·요양보호 서비스를 가장 중요하게 꼽았다. 농어촌 지역에서는 의료·요양보호 서비스, 문화·여가 복지서비스, 교통·주거환경 조성의 중요성이 도시보다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