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녹지 만들면 종묘가 최대 수혜자"
토지주들 "재개발 불가능시 법적책임 묻겠다"
|
오 시장은 11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세운상가를 허물고 녹지를 만들면 최대 수혜자는 종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운4구역이 세계유산지구 밖에 위치해 법령상 세계유산영향평가 대상이 아니며, 건물 높이 계획을 변경해도 종묘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오세훈 "김 총리 발언은 '선동'…공개토론 제안"
오 시장은 "세운4구역이 종묘 경계로부터 170m 떨어진 곳에서 첫 건축물이 시작하고 종로변과 청계천변도 약 150m가량 떨어져 있다"며 "종묘 정문부터 정전까지는 300m가량 거리가 있어 정전부터 청계천변 고층 빌딩까지는 500m 이상 거리를 두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500m 떨어진 곳에 100층, 150층 건물을 짓는데 김민석 국무총리께선 '숨이 턱 막힌다'는 감성적인 표현을 쓴다"며 "자꾸 국민감정을 자극하려는데 (이는) 선동"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김 총리가 지난 10일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 등과 함께 서울 종로구 종묘를 찾아 서울시의 인근 고층 재개발 계획에 대해 반대한 것에 대한 오 시장의 대응으로 풀이된다.
실제 김 총리는 지난 10일 종묘를 방문해 서울시의 인근 고층 재개발 계획에 대해 "마구 결정할 일이 아니다"라며 세운4구역 재개발을 반대했다.
당시 김 총리는 "종묘 인근 개발은 국민적 토론을 거쳐야 하는 문제다. 서울시에서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며 "문화와 경제, 미래 모두를 망칠 수 있는 결정을 지금 해선 안 된다는 관점에서 정부가 깊은 책임감을 갖고 이 문제에 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오 시장은 즉각 맞대응했다. 같은 날 오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중앙정부가 나서 일방적으로 서울시를 매도해 유감"이라며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서울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국무총리와 공개토론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김 총리에게 "60년이 다 되도록 판잣집 지붕으로 뒤덮여 폐허처럼 방치된 세운상가 일대는 말 그대로 처참한 상황"이라며 "세계인이 찾는 종묘 앞에 더는 방치할 수 없는 도시의 흉물을 그대로 두는 것이 온당한 일이냐"고 되물었다.
특히 '종묘를 가로막는 고층빌딩 숲'이라는 김 총리의 주장에 대해선 "왜곡된 정치 프레임"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
오 시장과 김 총리의 입씨름이 진행되자 종묘 인근 세운4구역 일대 토지주들은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태세를 보였다. 특히 국가유산청 등이 오 시장의 녹지도심 정책을 비방하면서 세운4구역 주민들의 땅을 놓고, '정치인들 정쟁의 판'으로 만들어 가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핵심 논리다.
이들은 이날 서울 종로구 다시세운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운4구역은 세계유산 보호 완충구역(문화유산으로부터 500m 이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국가유산청이 재개발을 불가능하게 한다면 부당한 행정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손해배상·직권남용 등 민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경고했다.
또한 "세운4구역이 재개발되면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해지될 것이라는 주장은 맹목적 억측이며 협박에 지나지 않는다"며 "재개발로 오히려 대규모 녹지가 종묘와 남산을 연결해 오히려 종묘가 더 빛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2006년 서울시를 믿고 사업을 착수하고 16년 전에 세입자를 다 이주시켜 월세 수입마저도 없고, 사업이 지연돼 생활비를 대출받아 연명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매년 눈 더미처럼 불어나는 금융이자 손실만 200억원을 부담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누적된 자금 차입이 7250억원에 이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