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임시정부가 하시나전 총리의 송환을 공식 요구했지만 인도는 자국의 전략적 이해 관계를 고려해 송환을 거부할 가능성이 높다.
하시나 전 총리는 15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인도의 이해관계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다. 아울러 방글라데시 내에서 이슬람 급진주의 세력의 준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온 그는 "인도의 이익에 민감했고 (이슬람) 급진주의자들을 견제해 온 오랜 동맹"으로 평가받는다.
독립 정치 평론가인 닐란잔 무크호파디아이는 로이터에 "인도는 상당 부분의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방글라데시에서 권력 구조를 잠식하고 있다는 점을 진심으로 경계한다"며 "하시나를 인도하는 것은 매우 비우호적인 행동으로 비칠 것"이라고 말했다.
즉 인도로서는 하시나 전 총리가 망명 생활을 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더 유익한 것이다. 또 그녀의 존재 자체가 방글라데시가 친(親)중국·파키스탄 세력으로 완전히 넘어가는 것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셈이다.
인도와 방글라데시가 2013년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했지만 전문가들은 인도가 하시나 전 총리를 넘길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범죄인 인도 조약의 과정이 매우 길고 복잡한데다, 재판이 정규 법원이 아닌 특별 재판소에서 진행됐다는 점과 소송 자체가 정치적으로 특정지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인도가 송환 요청을 거부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범죄인 인도조약은 정치범 불인도의 원칙에 따라 정치 활동이나 정치 지도자와 관련된 사건은 대상에서 제외하기 때문이다.
하시나 전 총리 역시 판결 직후 "내가 만든 법원이라도 유죄가 미리 정해진 정치적 보복극"이라고 맹비난하며 "ICC(국제형사재판소) 같은 독립적인 법정에서 심판을 받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분석가들은 판결의 성격이 '정치적 복수극'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기 어렵기 때문에, 인도가 이 조항을 들어 송환을 거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방글라데시의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정부는 지난 17일 선고 직후 "하시나와 전 내무부 장관의 송환을 즉각적으로 인도에 요구할 것이며, 인도하는 것이 법적 의무"라고 밝혔다. 또한 "범죄를 저지른 개인에게 망명을 허용하는 것은 정의를 모독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인도 외무부는 하시나 전 총리에 대한 사형 선고에 대해 "방글라데시의 평화·민주주의·안정 등 국민들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건설적으로 관여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밝혔다. 이는 송환 요청에 대한 확답을 피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는 뜻이다.
아미트 란잔 싱가포르 국립대학의 연구원은 "인도는 하시나 가족과의 오랜 관계와 국가적 이익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한다"고 짚었다. 그는 하시나 전 총리의 송환은 없을 것이며 최악의 경우 그가 제3국으로 망명하는 '체면 살리기' 방안이 나올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