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서버 은폐·허위 보고 의혹 수사
KT "의도적 폐기 없었다" 해명
경찰 "압수물 분석 등 수사 계속 진행"
|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19일 오전 KT 판교·방배사옥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수색에는 수사관 20여명이 투입됐다. KT 방배 사옥은 인증서 유출 등 해킹 의혹이 나온 원격상담시스템이 구축돼 있던 곳이다.
관건은 해킹 사고 처리 과정에서 KT가 증거물인 서버를 '은폐'했는지 여부다. 지난 8월 8일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은 국가 배후 조직에 의해 KT의 서버가 해킹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달 13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관련 서버 제출을 요청 받은 KT는 "8월 1일에 이미 파기했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는 KT가 같은 달 1·6·13일 등에 걸쳐 순차적으로 서버 8대를 폐기했다고 밝혔다. KT가 해킹 증거물인 서버를 숨기고 있다가 문제가 불거지자 뒤늦게 서버를 폐기했고, 정부에 허위보고까지 했다는 것이다.
또 폐기 서버의 백업 로그가 존재했음에도 이 사실을 9월 18일까지 민관 합동 조사단에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KT는 "의도적인 폐기는 전혀 없었다"며 "백업 데이터가 저장돼 있음을 나중에 확인했다"며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KT는 해당 의혹에 대해 지난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집중적인 질타를 받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KT의 대응을 문제 삼으며 고객 위약금 면제를 요구했다.
경찰은 확보한 압수물을 분석해 고의적인 서버 폐기 정황이 있는지 들여다 볼 방침이다. 경찰은 이 밖에도 해당 사안의 핵심 관계자인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구체적인 수사 계획은 밝히기 어렵다. 압수물 분석 등 혐의 관련 수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