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도 줄어…서비스 수출이 일부 상쇄
무역적자 24% 줄었지만 사실상 '착시'
|
미 상무부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8월 미국의 재화·서비스 수입은 전달보다 5.1% 감소한 3404억달러로 집계됐다. 8월7일, 약 90개국을 대상으로 한 고율 관세가 다시 시행된 데 따른 결과다.
기업들은 관세 재개 직후 해외 기계류, 산업용 원자재, 의약품 원료, 통신장비 구매를 줄였다. 수개월 동안 관세에 대비해 재고를 쌓아왔던 기업들은 창고 물량을 소진하는 데 주력하며 신규 수입을 축소했다. 특히 금 수입 감소가 전체 수입 감소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관세 시행 직전인 7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을 대거 매입하며 금 수입이 치솟았던 '기저효과' 때문이다.
8월 미국의 재화 수출도 전달보다 5억달러 줄어 1790억달러를 기록했다. 해외 소비재 수요가 감소하며 자동차·부품, 소비재, 금 수출이 줄었다. 반면 관광 등을 포함한 서비스 수출은 증가해 일부 충격을 흡수했다.
8월 미국의 재화·서비스 무역적자는 596억달러로 전달보다 약 24% 감소했다. 표면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이 강조해온 '무역적자 축소'가 성과를 낸 듯 보이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수입 폭증→급락이 반복된 결과"라고 지적한다.
트럼프의 당선 이후 기업들은 관세 가능성을 우려해 물량을 앞당겨 들여오며 적자가 빠르게 확대됐다. 올해 4월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를 공식 발표한 뒤 기업들의 '사재기식' 수입이 이어졌고, 그 반작용으로 8월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브린캐피털의 존 라이딩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관세가 예고되면 수입이 폭증하고, 실제 부과되면 급락하는 패턴이 반복돼 왔다"며 "관세 체계가 안정되기 전까지는 그 영향 평가 자체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8월 수입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가량 줄어든 정도"라고 덧붙였다.
올해 초부터 재고를 쌓아온 기업들은 관세 충격을 내부에서 흡수하며 가격 인상을 미뤄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재고가 빠르게 줄어들자 소비자 가격에 관세 부담을 전가하는 기업이 늘기 시작했다.
생활비 상승에 대한 불만은 이미 정치 지형에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여러 지역에서 승리한 배경에는 물가 부담에 대한 유권자들의 걱정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많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주 일부 식품 품목에 대해 관세 예외 조치를 새로 내놓았지만, 이 조치만으로 물가 부담을 상쇄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고 NYT는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