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전자금융업 영업실적'에 따르면 전자금융업 등록 회사 수는 233개로 전년 말(207개) 대비 26개 증가했다.
등록 업종 기준으로는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이 179개로 가장 많고, 이어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관리업 111개, 직불전자지급수단 발행·관리업 24개, 결제대금예치업(Escrow) 46개, 전자고지결제업(EBPP) 17개 등이다.
전자금융업 매출액은 5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원) 대비 10% 증가했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매출총이익은 1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6000억원) 대비 6.2% 늘었다.
업종별 매출총이익은 PG 1조원,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관리업 7000억원 등이다.
6월 말 PG·선불 잔액은 15조원(PG 10조2000억원·선불4조8000억원)으로 전년 말(14조4000억원) 대비 4.2% 증가했다.
경영지도준수 미준수 회사는 38개로 전년 말(28개) 대비 10개 늘었다. 다만 미준수사의 대부분은 전자금융업 매출이 크지 않고 PG·선불잔액도 전체 대비 규모·비중이 작은 편이었다.
금감원은 "상반기에도 등록 회사 수, 전자금융업 매출이 증가하는 등 성장세가 지속됐다"면서 "다만, 상위 전자금융업자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형사들은 마땅한 수익기반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등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금감원은 전자금융 산업이 건전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경영지도기준 미준수사에 대한 경영개선계획 징구, 경영진 면담 등 관리·감독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또한 '전자금융업자의 결제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을 도입해 선불업자 및 상위 PG사가 거래상대방(하위PG사)의 경영지도기준 준수 현황, 정산자금 관리 현황 등을 결제 리스크 평가시 반영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국회 계류중인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통과시 미준수사에 대한 금융위의 조치 요구 등이 신설되므로, 업계에 제도 변경사항을 충분히 안내하고 규제준수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