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인력·지역정주 연계 안 돼…단계별 정책 재설계 필요"
|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20일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한 인구절벽 위기 극복의 가능성과 향후 과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20만8000명으로 2007년(4만9000명)에 비해 4.2배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학위과정 유학생은 같은 기간 4.5배 늘어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대학원 과정 유학생 수는 코로나19 시기를 제외하면 매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비수도권 대학은 이러한 증가 효과를 온전히 누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에서는 어학연수 등 체류 기간이 짧은 비학위과정 유학생 비중만 늘었고, 정작 학위과정 유학생의 비중은 감소했다. 지방 대학을 '기착지'로 삼아 어학연수 후 서울 소재 대학으로 편입하는 경향이 확산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유학생의 취업 지역 선호도 역시 서울에 집중됐다. 졸업 후 한국에서 일할 계획이 있다고 밝힌 외국인 유학생 316명을 조사한 결과 62%가 '서울에서 취업하길 원한다'고 응답했다. 서울에서 공부한 유학생 121명 중 116명이 서울 취업을 희망했고, 경기·대전 등 다른 지역 대학 유학생도 상당수가 서울로 향하겠다고 답했다. 반면 부산·대구 등 일부 대도시는 지역 취업 선호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전공 구조도 정부가 목표로 삼는 산업 인력 확보와 엇갈렸다. 최근 10년간 인문사회·예체능 전공 유학생 비중은 증가한 반면, 자연과학·공학 전공 비중은 학·석·박사 과정 모두 감소했다. 특히 박사과정 공학 계열은 10년간 비중이 38.3%에서 18.5%로 크게 떨어졌다.
최정윤 KEDI 선임연구위원은 "유학생 수가 증가했다고 해서 곧바로 첨단·신산업 인력 확보나 지역 정주 효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며 "유치?학업?취업?정주 등 단계별 특성을 기반으로 정책 목표와 자원이 제대로 맞물리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위원은 "지자체와 대학이 유학생 유치 경쟁에만 집중하는 구조에서는 지역 정주로 이어지기 어렵다"며 "각 부처·지자체·대학 간 목표를 명확히 조율하고, 지역 노동시장·정주 여건 개선과 연계한 실효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