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대표는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당원이 주인되는 정당, 당원주권정당, 당원주권시대 등 여러가지 표현으로 이 대표 시절부터 3년여간 1인 1표제는 꾸준히 요구되고 논의했던 사안"이라며 최근의 당헌·당규 개정 추진이 갑작스러운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그는 영남권 등 전략 지역에 대한 배려 부족 지적에 대해서도 "중앙위원 배려, 각종 위원회 구성 시 배려 등 영남권 등 전략지역에 대한 배려도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에 많이 담았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의 이러한 입장은 '1인 1표제' 도입을 포함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두고 최근 당내 일부 인사들의 공개적인 비판이 이어진 데 기인한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낮은 투표율을 근거로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았으며, 강득구 의원은 "당원주권 실현만큼이나 중요한 가치는 바로 전국정당의 완성"이라며 특정 지역의 의견이 과소대표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이에 당 지도부도 해명에 나섰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페이스북을 통해 "정 대표가 말 한 적도 없는 대표 재선을 위한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온)가 아니다"라며 "여러 번의 당 혁신 계기에 '1인 1표 지향'은 봇물처럼 터져 나왔던 아래로부터의 요구였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2022년과 2023년 원외지역위원장협의회가 발표한 성명서를 근거로 제시하며 "1인 1표를 보완하기 위한 내용도, 부족하지만 개정안에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9~20일 전 당원 의견 수렴을 거쳤으며, 오는 24일 당무위원회와 28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당헌·당규 개정안을 최종 의결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