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힘 겨눈 3대 특검… ‘추경호 체포안’ 분수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1932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5. 11. 23. 17:35

27일 표결 뒤 주말께 구속여부 판가름
'패트 고비' 넘겼지만… 긴장감 재고조
추경호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가 지난 10월 30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마련된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며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국민의힘이 패스트트랙 판결로 '의원직 상실 위기'를 가까스로 넘겼지만, 추경호 의원<사진>을 정조준한 3대 특검 수사가 당 전체를 흔들 분수령으로 부상하고 있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전현직 의원 26명 전원(현직 6명)이 최근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으로 벌금형을 선고받아 모두 의원직을 유지했다. 개헌저지선 붕괴 우려까지 거론됐던 국면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는 일단 피했다는 평가가 당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다만 3대 특검(내란·김건희·순직해병) 수사가 동시에 진행되는 만큼, 여야 충돌은 심화할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긴장감은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 국면에서 표면화하고 있다.

여야는 오는 27일 본회의에서 추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을 실시할 예정이다. 범여권 의석 규모를 고려할 때 가결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체포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추 의원의 구속 여부는 이르면 이번 주말쯤 결정될 전망이다. 앞서 권성동 의원도 지난 9월 체포동의안이 통과된 뒤 엿새 만에 구속영장이 발부된 전례가 있어, 당은 유사한 절차가 반복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의원 중 본회의장까지 이동해 '계엄 해제 표결'에 실제 참여했던 김용태 의원의 진술도 변수로 꼽힌다. 김 의원은 당시 여의도 당사에서 국회 본청으로 이동해 원내대표실에 대기했고, 이후 본회의장으로 내려가 표결에 참여했다. 특검은 의총 장소 변경 경위와 전달 체계, 의원 동선 등 당시 상황을 복원하기 위해 김 의원을 핵심 참고인으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지난 22일 새벽 페이스북에 "조금 전 특검 참고인 조사를 마쳤다"며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의원으로서 기억하는 바를 모두 말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 1주년을 앞두고 당 대응 전략을 다시 조정하고 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국회 안에서 대여투쟁을 총괄하며 투쟁 기조를 이어가는 한편, 최근에는 의원들에게 장외투쟁 참여를 독려하는 메시지를 발송했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