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與 ‘1인1표제’ 내홍 확산… “투표율 16.8%뿐” “당원주권 실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1937

글자크기

닫기

심준보 기자

승인 : 2025. 11. 23. 17:42

이언주 '졸속추진' 비판에 친명 가세
"권리당원 83%가 여론조사에 불참"
鄭 연임용 시선 "사실과 달라" 해명
"당 대표부터 공천권을 내려놓겠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왼쪽), 이언주 최고위원. /연합
더불어민주당의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가치를 동일하게 하는 이른바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을 두고 내홍이 격화되고 있다.

우선 이언주 최고위원이 절차적 문제를 제기하며 "졸속 추진"이라고 비판하자 정청래 대표 측이 "사실과 다르다"며 사태 진화에 나섰다. 특히 친명(친이재명)계 원외 모임인 '더민주혁신회의'이 논쟁에 뛰어들면서 내홍의 불길은 일파만파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원·당규 개정에 이언주 최고위원이 공개 반기를 들어 올리면서 당내 갈등의 불씨를 댕겼다.

이 최고위원은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과반에 가까운 상당수 최고위원이 우려를 표하고 숙의를 원했음에도 강행, 졸속 혹은 즉흥적으로 추진된 부분에 대해 유감"이라며 "권리당원 164만여 명 중 16.8%에 불과한 24만여 명이 찬성한 결과를 두고 '압도적 찬성'이라며 개정안을 밀어붙이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했다.

당내 비판이 잇따르자 정청래 대표 측은 반박에 나섰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지난 22일 페이스북 글을 통해 "이번 당헌·당규 개정이 일부 당 지도부의 의견만으로 추진됐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지난 8·2 전당대회를 관통한 화두이자 당원의 합의였고, 당 대표의 공약"이라고 강조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이 최고위원이 제기한 '졸속 처리' 주장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비공개 최고위원회에 보고됐고, 전국 지역위원장 워크숍에서도 자세히 설명됐다"고 했다. 또한 최고위 표결 과정에 대해서는 "숙의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경청했다"며 "결과적으로는 찬성 7 대 반대 2로 의결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특히 친명계 '더민주혁신회의'마저 비판에 가세하며 논란이 커지는 모양새다. 혁신회의는 같은 날 논평을 내고 "대의원과 당원 모두 1인 1표로 하자는 취지는 좋으나, 의견수렴 방식·절차적 정당성·타이밍 면에서 '이렇게 해야만 하나'라는 당원들의 자조 섞인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들려온다"고 했다. 이들은 "권리당원의 압도적 다수인 83.19%가 여론조사에 불참했다"면서 "압도적 찬성이라는 지도부의 자화자찬이 낯 뜨겁다"고 말했다.

또한 "시기조차 이재명 대통령이 G20 해외 순방에 나선 기간이어야만 했는가"라며 추진 시점도 지적했다.

강득구 의원도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원주권 강화는 분명 옳은 방향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 시절부터 추구해 온 민주당의 원칙으로 정청래 대표의 1인 1표제 공약 역시 흐름"이라면서도 "당원주권 실현만큼이나 중요한 가치는 전국정당의 완성이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등 모두의 꿈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1인 1표제를 도입한다는 이유로 그 보완장치의 취지까지 모두 없애버린다면 당의 역사와 정체성, 가치를 훼손하는 우를 범하는 졸속 개혁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홍의 기저에는 이번 당헌·당규 개정이 정 대표의 연임을 위한 포석이라는 당내 일각의 시선이 깔려 있다. 대의원 제도를 사실상 무력화하고 권리당원의 투표 가치를 높이는 것이 강성 지지층의 지지를 받는 정 대표의 당내 기반을 강화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정 대표는 지난 22일 전남 나주에서 열린 특별강연에서 "이제는 국민주권 시대에 걸맞은 당원 주권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며 "당 대표부터 공천권을 내려놓겠다"고 말해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

민주당은 24일 당무위원회, 28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개정안을 처리할 방침이다.
심준보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