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네이버랩스 유럽, 글로벌 로보틱스·AI 연구자들과 워크숍 개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2115

글자크기

닫기

연찬모 기자

승인 : 2025. 11. 24. 10:02

[사진] 네이버랩스 이동환 리더
이동환 네이버랩스 리더가 제4회 'AI for 로보틱스' 워크샵에서 발표하는 모습./네이버
네이버랩스 유럽이 글로벌 로보틱스·AI 연구자들과 관련 기술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네이버랩스 유럽은 지난 20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제4회 'AI for 로보틱스' 워크샵을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2019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는 워크샵은 전 세계 로보틱스 및 AI 분야 연구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로봇이 사람처럼 세상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한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한다.

올해 워크샵은 '공간지능'을 주제로 진행됐다. 공간지능 개념을 처음 제안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앤드류 데이비슨 교수를 포함해 150여명의 연구자가 참석했다. 이들은 공간지능이 로봇의 인지·판단·행동 능력을 어떻게 고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신 연구를 공유했다.

공간지능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넘어 사물이나 사람의 위치, 움직임, 관계 등을 바탕으로 현실 세계의 맥락까지 이해하는 AI 기술이다.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로봇은 3D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델링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더 적절한 판단과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네이버랩스 유럽의 마틴 휴멘버거 연구소장은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연구 방향을 소개하며, 새로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기존 모델의 개선·통합을 통해 비전문가도 실제 환경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지능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랩스 이동환 리더는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을 연결하는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들이 로봇, AR, VR, 스마트시티 등 실제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되는 사례와 향후 비전을 공유했다.

네이버랩스는 이번 워크샵에서 로봇의 공간 및 사람 이해 능력을 한층 확장하는 AI 모델 '더스터2'와 '애니'를 소개했다. 2023년 12월 최초 공개된 '더스터'는 한 장의 사진만으로 공간을 3D로 재구성하는 3D 비전 모델이다. 이를 로봇에 적용하면 사전에 제작된 지도 없이도 로봇이 새로운 공간을 빠르게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3D 바디 모델 '애니'는 다양한 파라미터로 사람의 신체를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 네이버랩스 유럽은 애니를 기반으로 사람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로봇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해당 모델은 지난 6일 오픈소스로 공개됐다.

이동환 리더는 "앞으로도 글로벌 무대에서 연구 성과를 적극 공유해 생태계를 확장하는 한편, 로봇을 위한 AI 연구·개발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찬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