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우 이순재 별세…91세까지 무대를 지킨 ‘평생 현역’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5010012720

글자크기

닫기

이다혜 기자

승인 : 2025. 11. 25. 08:24

사랑이 뭐길래·허준·하이킥까지 세대를 관통한 연기
말년까지 연극·예능·교단을 지킨 한 시대의 배우
자료=/파크컴퍼니, 연합, / 그래픽 =박종규 기자

현역 최고령 배우로 활동해온 이순재가 별세했다. 향년 91세.

25일 유족에 따르면 이순재는 이날 새벽 세상을 떠났다. 노년에 이르기까지 드라마·영화·연극을 넘나들며 활동을 멈추지 않은 그는 한국 연기사의 굴곡을 몸으로 통과해온 '평생 현역'의 상징적 존재였다.

1934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난 그는 네 살 때 조부모를 따라 서울로 이주했다. 남대문시장에서 장사를 돕던 시절 해방을 맞았고, 고등학교 1학년 때 한국전쟁을 겪었다. 서울대 철학과에 진학한 뒤 로렌스 올리비에가 출연한 영화 '햄릿'을 보고 배우의 길을 결심했다.

1956년 연극 '지평선 넘어'로 데뷔한 그는 이듬해 TV 드라마 '푸른지평선'으로 브라운관에 얼굴을 알렸다. 1965년 TBC 1기 전속 배우로 발탁되며 본격적인 방송 활동을 시작했고 이후 '나도 인간이 되련다' '동의보감' '목욕탕집 남자들' '야인시대' '토지' '엄마가 뿔났다' 등 140여 편의 드라마에 출연했다. 단역까지 포함하면 작품 수는 셀 수 없이 많고 한 달에 30편을 오가던 시절도 있었다.

그의 연기 인생을 결정적으로 바꾼 작품은 1991~1992년 방영된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다. 시청률 65%를 기록하며 '대발이 아버지' 캐릭터는 한국 가정극의 전형을 다시 썼고, 그 인기는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당선으로 이어졌다. 정치 활동 중에도 '야망' '작별' 등에 출연하며 현장을 놓지 않았고, 1996년 정계 은퇴 이후 다시 연기에 복귀했다.

사극에서도 독보적 존재였다. '사모곡' '인목대비' '풍운' '독립문'을 거쳐 '허준'에서 허준의 스승 유의태 역을 맡아 또 한 번 이미지 변신에 성공했다. 이후 '상도' '장희빈' '불멸의 이순신' '이산' 등 주요 사극에서 굵직한 역할을 이어갔다. 

이순재
2024년 KBS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한 이순재/KBS2
70대 이후엔 또 다른 전성기를 맞았다.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괴팍하지만 인간적인 한의사를 연기하며 기존의 근엄한 이미지를 벗어던졌다. 일명 '야동 순재'라는 별칭을 얻으며 젊은 세대에게까지 팬층을 넓혔고, 이 작품으로 MBC 방송연예대상 대상을 수상했다. 속편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도 김자옥과 노년 로맨스를 그리며 또 한 번 화제를 모았다.

예능 '꽃보다 할배'에서는 흔들림 없는 체력과 철저한 자기관리로 '참 어른' '직진 순재'라는 평가를 받았다. 프로그램이 시즌을 이어가는 동안 팀의 맏형으로 구심점 역할을 했다.

말년에는 다시 연극 무대에 섰다. '장수상회' '앙리할아버지와 나'를 지나 2021년 '리어왕'에서는 200분 공연을 87세의 나이로 완주하며 무대 기록을 새로 썼다. 2023년에는 체호프의 '갈매기'를 대극장에 연출하며 연출가로서도 첫발을 내디뎠다.

지난해에는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와 KBS2 드라마 '개소리'에 출연했으나 10월 건강 문제로 일부 공연을 취소했다. 같은 해 KBS 연기대상에서 역대 최고령 대상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당시 그는 "'언젠가는 기회가 한 번 오겠지' 하면서 늘 준비하고 있었는데 오늘, 이 아름다운 상, 귀한 상을 받게 됐다"고 수상 소감을 전해 뭉클함을 자아내기도 했다. 또 2025년 한국PD대상에서도 수상자로 호명됐으나 건강 악화로 참석하지 못했다.

잠시 정치 활동을 했던 시기가 있었으나 그의 경력의 중심은 연기였다. 그는 가천대 연기예술학과 석좌교수로 재직하며 후배 양성에 참여했다. 오랜 기간 드라마·영화·연극에서 배역을 맡아 활동했고, 말년까지 무대와 방송 출연을 이어갔다.
이다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