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교육계에 따르면 곽 교육감은 전날 교육·지방공무원 인사위원회의 신규 위원 10명을 전원 외부 인사로 임명했으며, 이 중 9명이 진보 성향을 띠고 있다.
즉 전교조 간부나 친전교조 교육 활동가, 노무현 정부에서 활동했던 인사들이다.
‘교육공무원 인사위’는 장학관·장학사 등 교육 전문직 442명과 초·중·고 교원 4만7615명의 인사 규정을 만들고 승진·전보 여부를 심의·의결하는 권한을 갖고 있으며, ‘지방공무원 인사위’는 일반직·기능직 공무원 6795명의 인사 사항을 관할할 만큼 막강한 권한이 있다.
이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인사위 전면재구성을 촉구하면서 “곽 교육감은 ‘모두의 교육감이 되겠다’고 한 약속을 저버렸다”며 “객관성과 공정성을 명분으로 내세우더니 징계위원회 구성에 이어 이번 인사위까지 코드인사로 일관해 개탄스러울 따름이다”고 비판했다.
최미숙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회’ 대표는 “교육감은 한쪽이 아닌 모든 이들의 의견을 듣고 정책을 세워야 한다. 더 이상 교육계는 실험의 장이 돼서는 안된다”며 “교육감의 성향에만 맞는 인사는 훗날 마찰을 예고할 뿐이다”고 말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진보’를 앞세워 보수진영과의 경쟁에서 승리한 곽교육감의 인사는 당연한 결과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중학교 2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전희진씨(40·서울시 영등포구)는 “곽교육감의 성향이 진보인만큼 같이 일할 사람들을 비슷한 성향으로 선출한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취임한지 한달도 되지 않은 곽교육감을 우선 믿고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엄민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교육감이 자신의 정책기조에 맞춰 인사를 구성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각 의원들이 ‘일을 제대로 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지 그들의 성향을 보고 미리 판단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 같은 교육계의 논쟁에 대해 서울 K초등학교에서 박성훈교사(45·서울시 강남구)는 “지방선거 때부터 교육 앞에 온통 ‘진보와 보수’라는 말이 붙는 것 같다”며 “하루빨리 양 진영이 화합을 이뤄 더 이상 학생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교육계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