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투데이=김문관 기자] 가계부채 시한폭탄이 째깍거리고 가계저축률이 끝모를 추락을 이어가면서 '가계발 복합불황'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한국은행 및 금융권에 따르면 2011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은 4.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개국 평균(7.4%)의 5분의3수준에 불과하다.
1993년 이후 가계저축률은 무려 18.4%포인트 하락, 하락속도가 OECD국가 중 가장 빠르다.
가계저축률의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다.
고소득층인 소득 5분위가구의 가계저축률은 최근 10년간 평균 34.7%로 1990~1999년 평균(33.6%)보다 1.1%포인트 올랐으나 같은 기간 소득3분위층의 저축률은 18.2%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2004년 이후 우리나라의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8.8%로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율(3.2%)을 2배이상 상회한다.
이에 따라 금융권의 가계부실채권 규모도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작년말 국내은행들의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1.73%로 전년보다 0.87%포인트 내렸으나, 가계여신(0.6%) 및 주택담보대출(0.54%)의 부실채권비율은 전년보다 각각 0.04%포인트씩 상승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가계저축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국내총생산(GDP)대비 민간소비 비중은 0.25%포인트 줄고 총고정투자율도 0.36%포인트 하락한다. 경제성장률은 0.15%포인트 하락한다.
가계부채 및 저축률 감소로 인한 복합불황이 예고되는 대목이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저소득·저신용자의 2금융권 대출 쏠림이 지속될 경우 가계부채발 복합불황이 올 수 있다"며 "정책적인 부채줄이기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가계입장에서 부채를 스스로 감당할 수 있게 해주는 정책이다"고 조언했다.
이은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근로소득을 높이고 저축 인센티브 부여 등 저축률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기웅 경실련 간사는 "저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저금리기조를 탈피해야 한다"며 "물가를 안정시키고 가계부채를 축소하는 적극적인 대책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