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동규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올해만 재해보험 분야의 지급 보험금이 3000억원을 넘어섰다"며 "올해 재해보험 분야의 적자폭이 200억원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농협손보가 재해보험을 운영하는 이유는 국가가 재난방지 시스템을 재해보험 보상 방식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재해보험 손해율이 110~120%를 넘을 경우 재보험사에서 모두 부담하고, 재해보험 손해율이 180%를 넘는 경우에만 정부가 보상하기로 돼 있다.
이렇게 정부보상이 여의치 않기 때문에 손보사도 재해보험 보험료를 높이고 피해액을 보수적으로 산정하고 있어, 농어가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농협손보 관계자는 "지금처럼 정부보조가 없다면 보험료를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재해보험에 들지 않은 피해농민도 정부가 농업재해대책에 따라 보상을 해주고 있어 보험가입자가 오히려 역차별을 받는 경우도 있다.
농식품부 역시 손해율이 180%를 넘으면 보상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잔뜩 긴장하고 있다.
최경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도 농작물 재해보험 손실이 불가피한 만큼, 위험 분산 체계를 다시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손해율이 180% 이상일 때만 국가가 책임지는 국가재보험 제도 등을 재조정, 보험사의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지영 농협손보 농업보험지원부장은 "지금 같은 상황이 이어지면 보험료는 올라갈 수밖에 없고, 이 구조가 지속되면 영업을 계속할 수 있는 보험사는 없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