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통3사 가입자 뺏기 점입가경... 방통위 경고 ‘무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763633

글자크기

닫기

최용민 기자

승인 : 2013. 02. 04. 18:07

* 방통위, 영업 책임자 소환 경고
방송통신위원회의 영업정지 조치 등 강력 규제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3사의 보조금 경쟁이 점입가경이다. 경쟁사의 영업정지를 이용한 가입자 뺏기가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방통위가 최근 여러 차례 이통3사 관계자를 불러 불법 보조금 지급에 대해 엄중 경고했지만 시장은 오히려 더 혼탁해지고 있어 방통위 경고가 무색할 지경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지난 주말에 이어 이날까지 총 3차례 이통3사의 부사장급 영업 총괄책임자를 소환해 불법 보조금 지급에 대해 엄중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는 현재 과열 국면이 진정되지 않을 경우 사실조사 대상기간을 연장하고 추가제제에 나서겠다고 직접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 관계자는 “보조금 경쟁으로 시장이 혼탁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어 이통 3사에 시장 안정화에 노력해 달라고 촉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영업정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통신사들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히려 이 기간을 악용해 경쟁사 가입자 뺏어오기에 열중하고 있어 과열된 시장은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날에도 일부 온라인 사이트에는 ‘설맞이 특별 이벤트’ 등을 열고 ‘갤럭시노트2’를 할부원금 23만원에 판매한다고 광고하고 있었고 팬택의 ‘베가R3’를 5만원에 판매하는 곳도 있었다. LG유플러스 한 매장에서는 옵티머스G에 100만원의 보조금을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 관계자는 “지난 번 실태 점검 이후 보조금 과잉 여부에 대한 ‘사실조사’에 돌입했다”며 “실태점검과 달리 사실조사는 ‘징계’를 전제로 이뤄지기 때문에 사실조사가 끝나면 추가 징계가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방통위 조직개편 등으로 어수선한 상황에서 시장 감시와 견제가 제대로 이뤄지기 힘들 것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한편 LG유플러스의 영업정지 기간 SK텔레콤과 KT의 ‘가입자 빼앗기’는 절정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SK텔레콤에서 KT로 번호이동을 한 가입자는 34만1509명이고, KT에서 SK텔레콤으로 옮겨간 가입자도 30만8613만명에 달했다. 지난 2004년 통신사간 번호이동이 허용된 이래 한달동안 한 통신사에서 30만명이 넘는 가입자가 움직인 것은 처음이다.
최용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