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르포] 국정원 중앙합동신문센터 가보니

[르포] 국정원 중앙합동신문센터 가보니

기사승인 2014. 04. 06. 09:1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조사과정에서 녹화ㆍ녹음 안 하지만 모니터링은 하고 있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위치한 국가정보원 중앙합동신문센터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위치한 국가정보원 중앙합동신문센터/사진=국정원 제공
“조사관들은 조사 과정에서 존댓말을 사용했고 예의 바르고 겸손했습니다.”

4일 오후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위치한 국가정보원 중앙합동신문센터(이하 합신센터)에서 만난 40대 남성의 탈북자 A씨는 ‘조사과정에서 폭행이나 협박이 있을 수 있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전혀 불가능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합신센터는 이날 언론사 법조계 출입기자들을 초대해 합신센터 내부시설을 공개하고 합신센터에서 조사받은 탈북자 5명에 대한 인터뷰를 허락했다.

기자단을 인솔하던 합신센터 관계자는 최근 논란이 된 증거위조 사건을 의식한 듯 “언론에서 합신센터에 대한 오해가 있어 왜곡된 보도가 많은 것 같다”며 기자단을 초대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국가보안시설 ‘가’급에 해당하는 합신센터에는 외부인의 휴대전화와 노트북 반입이 안 돼 기자단은 도착하자마자 소지하고 있던 휴대전화들을 모아 합신센터 관계자에게 건넨 뒤 삼엄한 통제 하에 합신센터 내부에 들어섰다.

합신센터에는 탈북자들이 조사를 받으며 머무를 수 있는 1인 생활실(숙소), 1인 조사실, 합동조사실, 결핵 등 전염병에 걸린 탈북자를 조사하기 위한 격리조사실, 식당, 의무실, 어린이놀이방, 도서관, 체육실, 조사를 마친 탈북자들이 머무르는 다인생활실 등이 있었다.

조사 중인 탈북자가 머무는 5평 규모의 1인 생활실에는 침대 1개와 TV 1대, 화장실과 세면시설이 마련돼 있었다.

취재진이 ‘방안에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이 작동하냐’고 묻자 합신센터 관계자는 “건강이 안 좋은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긴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구두로 동의를 구하고 CCTV가 있는 1인 생활실에 머무르게 한다”며 “전부 설치된 것은 아니고 몇 개 방에 있다”고 답했다.

장기간 조사가 필요한 탈북자들은 이보다 좀 더 큰 10평 규모의 생활실을 사용하고 있었다. 내부 구성은 5평짜리 1인 생활실과 같았지만 방 안에 바로 연결돼 있는 조사실이 관심을 끌었다.

합신센터의 보편적인 조사실인 1인 조사실에는 탈북자 자리 1곳과 조사관 2명이 앉을 수 있는 자리 2곳이 마련돼 있었다.

조사 과정에서 녹화나 녹음이 되는지 묻자 합신센터 관계자는 “녹화와 녹음은 안 하지만 조사관이 폭언을 하거나 조사 과정에서 혹시 모를 돌발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CCTV로 모니터 전담 직원이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합신센터 관계자는 또 도서관에서 탈북자들이 많이 보는 책에 대해 “김일성 부자에 대한 책을 많이 읽는다”고 말했고 “아이들이 부모가 조사받는 모습을 보면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어린이놀이방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시 간첩사건 피고인 유우성씨(34)의 변호인단은 합신센터의 이 같은 언론공개에 대해 “간첩사건 증거조작 범죄행위에 관한 비난여론 무마용”이라며 반발했다.

앞서 유씨의 동생 유가려씨는 합신센터에서 변호사 접견이 차단된 채 6개월간 수용돼 있으며 ‘우리 오빠가 간첩’이라는 내용의 진술서를 썼고 재판 과정에서 ‘조사관들의 폭행과 협박, 회유가 있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