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원전 공격 협박 D-1…정부·한수원, ‘비상태세’

원전 공격 협박 D-1…정부·한수원, ‘비상태세’

기사승인 2014. 12. 24. 11:3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자료를 잇단 공개하고 있는 ‘원전반대그룹’이 고리1, 3호기 등의 가동 중단을 요구한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은 24일 서울 삼성동 본사 종합상황실에 비상 상황반을 꾸리고 24시간 비상대기태세에 돌입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안전성분석 코드는 현재 진화판을 개발 중이며 지금은 어떤 원전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프로그램”이라며 “자료 유출로 인해 원전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해 사이버공격 태세를 강화했고 22~23일 4개 원전본부에서 최악의 사이버공격을 가정해 모의 훈련을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한수원의 발전처와 엔지니어링본부 직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비상 상황반은 이날 저녁 6시부터 철야 근무하면서 고리, 월성, 한빛, 한울 등 4개 본부 23개 원전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보고받고 문제 발생 시 긴급대응을 지휘할 예정이다.

비상 상황반은 원전별 주요 운전변수 감시 및 이상 징후를 확인하는 한편 모든 원전의 주 제어실의 운전현황을 파악하고 사건발생 시 초동조치와 기술지원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도 이날 저녁 고리본부를 방문해 현장에서 철야 비상근무한 뒤 25일 오전 월성본부로 이동해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정부의 대응 현황을 설명할 계획이다.

산업부와 한수원은 원전반대그룹의 위협처럼 실제로 원전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장담하고 있다. 우리나라 원전의 경우 제어망이 두 단계로 외부와 완전히 차단돼 있어 사이버 테러에 노출될 위험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원전에 문제가 발생할 단 1%의 가능성에 대비해 철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이란 원전은 2010년 ‘스턱스넷’이라는 해킹 공격을 받아 원전 가동이 정지됐다. 올 1월엔 일본 후쿠이현 몬주 원전도 사이버 공격으로 내부 자료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해외 사례만 보더라도 망분리이기 때문에 보안이 완벽하다는 것은 비과학적인 발언”이라며 “정부와 한수원은 단 1%의 가능성이라도 염두해놓고 발빠르게 대응할 때”라고 지적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