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박근혜 대통령·아베 총리 ‘위안부 문제’ 진전 거두나?

박근혜 대통령·아베 총리 ‘위안부 문제’ 진전 거두나?

기사승인 2015. 10. 28. 19:1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내달 2일 서울서 첫 한일정상회담,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한일관계 새 모멘텀' 주목...한일 정상 '최악' 관계 속 만남 자체 큰 성과...아베 총리, 위안부 문제 '진전된 입장' 기대 섞인 전망도 나와
운영위-04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맨 왼쪽)과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맨 오른쪽에는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자리하고 있다. / 이병화 기자photolbh@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다음달 2일 서울에서 첫 한·일 정상회담을 연다. 또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다음달 1일 청와대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한다. 박 대통령이 한·일 양자 정상회담을 하기는 취임 후 처음이며, 한·일 정상회담은 3년 6개월 만이다. 한·중·일 3국 정상회의는 2012년 5월 이후 3년 만에 다시 열린다.

박 대통령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사과 문제를 비롯해 과거사 왜곡, 안보법제, 독도 영토 분쟁으로 최악의 양국 관계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아베 총리와 어떤 외교적 성과물을 도출해 낼지 주목된다. 일단 한·일 정상이 국교 정상화 50주년인 올해 서울에서 머리를 맞댄다는 자체만으로도 큰 성과로 평가된다. 한·일 정상회담이 우여곡절 끝에 어렵사리 성사됐기 때문에 위안부 문제 사과를 포함한 양국 간 민감한 현안들에서도 새로운 진전과 양국 간 새 모멘텀을 만들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28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제6차 한·중·일 정상회의가 박 대통령 주재 아래 다음달 1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 이어 공동기자회견도 열린다. 김 수석은 “박 대통령은 한·중·일 3국 정상회의 계기에 아베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갖고 한·일관계 발전 방안과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박 대통령은 올해 3월 리콴유(李光耀) 전 총리의 국장 참석 때와 지난해 11월 베이징(北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아베 총리와 만나 환담했다. 하지만 양자 회담은 하지 않았다. 두 나라 정상이 머리를 맞대고 현안을 논의하는 것도 2012년 5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 간의 회담 이후 3년 6개월 만이다. 김 수석은 한·일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한·일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중·일 3국 정상회의가 열리는 것은 이번이 6번째다. 이번 회의는 한국 정부 주도로 2012년 5월 이후 3년 6개월 만에 재개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 수석은 3국 정상회의 공동 합의문 채택 여부와 관련해 “3국 정상회의가 열리면 공동성명이 채택돼 왔다”면서 “이번에도 3국 정상회의 결과로 채택하기 위해서 외교적 교섭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병세 외교부장관은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한일·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열어 사전 의제를 조율한다. 한·일 외교장관회담은 다음달 1일 오전에 열리며, 한·중 외교장관 회담은 아직 구체적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