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본격화된 ‘오픈뱅킹’에 복잡해진 저축은행·상호금융 ‘속내’

본격화된 ‘오픈뱅킹’에 복잡해진 저축은행·상호금융 ‘속내’

기사승인 2019. 12. 19.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오픈뱅킹, 비대면 활성화 계기 될 가능성
1금융권과의 규모 격차는 과제…보안·마케팅 필요
오픈뱅킹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향후 상호금융권과 저축은행으로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상호금융과 저축은행들은 일단 오픈뱅킹 도입에 대비하고는 있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1금융권과 비대면 금융 및 마케팅 역량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금융결제원 전산망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곳이 많아 별도 참가 비용이 발생하는 점도 걸림돌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과 핀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오픈뱅킹 서비스가 본격 시행됐다. 오픈뱅킹은 시범서비스 때부터 많은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졌던 터라 상호금융이나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적용도 논의되고 있다. 앞서 금융당국은 내년 중에 2금융권에도 오픈뱅킹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2금융권은 모바일 앱을 개편하는 등 오픈뱅킹 도입에 대비하고 있다. 신협은 내년 1월 새 모바일앱 출범을 예고했고, 새마을금고도 스마트뱅킹 앱 개선 작업에 돌입했다. 상호금융권은 이용객 연령대가 다소 높아 모바일뱅킹 이용률이 적었던 만큼 비대면 금융에도 크게 집중하지 않았다. 모바일 앱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온 것도 이때문이다. 저축은행업계는 중앙회가 나서서 66개 저축은행의 통합 앱 ‘SB톡톡플러스’를 출범하고 최근 앱을 리뉴얼하기도 했다.

오픈뱅킹을 통해 금융권 디지털화가 2금융권에도 빠르게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시각도 있다. 비대면화를 통해 고객 접근성을 높이면 2금융에 대한 선입견이 사라지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2금융권에서는 내년 오픈뱅킹 도입이 이르다는 시각이 나온다. 보안이나 마케팅 등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제1금융권이나 핀테크기업보다 디지털·마케팅 예산이 현저히 적은 2금융권에서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1금융권과 마케팅이나 보안 관련 예산 규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오픈뱅킹을 마냥 반길 수만은 없는 처지”라고 말했다.

저축은행은 우려가 더 크다. 특히 전체 저축은행 중 12곳 말고는 금융결제원의 전산망이 아닌 저축은행 중앙회의 통합전산망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까지 오픈뱅킹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특별참가금을 내고 특별참가기관으로 등록해야 한다. 별도 비용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또 66개의 저축은행들은 자산 규모나 수익 차이가 큰 만큼 각사의 입장이 달라 업권 전체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선 의견 통합에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게다가 2금융권에선 오픈뱅킹 필요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부분 소비자들이 2금융권을 주거래 은행으로 활용하기보다는 대출 등 특정 상품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오픈뱅킹을 통해 매일 조회하거나 송금하는 업무까지는 필요가 없다는 지적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