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경우 그동안 누려왔던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 원칙 하에서의 모든 혜택까지 다 내려놓지 않으면 안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홍콩의 미래에 실망한 상당수 홍콩인들은 향후 자의 반, 타의 반 대거 엑소더스(대탈출) 행렬에 오를 것이 확실시된다.
이러한 비관적인 관측은 홍콩보안법이 사실상 홍콩의 자치권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정치, 경제, 사법 분야의 모든 것을 중국의 관할 하에 두는 것을 대전제로 하고 있어서다. 홍콩 내 홍콩인들을 전원 중국인으로 만들어버리겠다는 중국의 속셈이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
정치적으로 억압을 당하는 상황에서 그동안 누려온 경제적 자유를 보장받는다는 자체도 어려워질 수 있다. 설사 중국이 광범위하게 자유를 보장한다 해도 미래의 현실은 어둡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미국이 중국에 압박을 가하기 위해 지난해 ‘홍콩 인권법’을 제정한 데 이어 25일 ‘홍콩 자치법’ 법안을 만장일치로 가결한 상황을 상기하면 그럴 수밖에 없다고 해야 한다. 상당수의 홍콩인들과 기업들이 경제적 자유가 제약되는 선의의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 미국이 30일(중국 시간)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하는 조치를 내린 현실까지 감안할 경우 홍콩인들의 삶이 이전과는 확연하게 달라질 것이란 관측이 많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부분 홍콩인들은 상당히 동요하는 모습이 심심치 않게 목격되곤 한다. 올해 내에 영국, 대만, 싱가포르 등으로 떠날 이민자들이 최소 1만명에서 최대 10만명에 이를 것이란 얘기도 흘러나온다. 홍콩이 과거의 홍콩이 아니라는 사실은 이제 분명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