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카톡’ 업은 카카오, 매출 1조원 코앞…2Q 영업익 142% 증가한 978억원(종합)

‘카톡’ 업은 카카오, 매출 1조원 코앞…2Q 영업익 142% 증가한 978억원(종합)

기사승인 2020. 08. 06. 13:3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실적 요약
카카오 2020년도 2분기 실적 요약./제공=카카오
카카오가 6분기 연속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하면서 매출 1조원을 코앞에 두고 있다. 이번 실적 갱신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광고·커머스 사업이 수혜를 입고, 신사업 부문과 글로벌 유료 콘텐츠 사업이 성장했기 때문이다.

카카오는 6일 공시를 통해 K-IFRS(한국국제회계기준) 기준 올 2분기 매출 9529억원, 영업이익 97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0%, 142% 증가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1452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369% 증가했다.

카카오는 국민메신저인 카톡을 통한 콘텐츠 소비 증가와 신사업 성장에 힘입어 올 하반기에도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 중 카카오M의 디지털 콘텐츠를 카톡 내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준비 중인데다가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 등 신사업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카카오의 2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분기 대비 12% 증가,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4927억원을 기록했다. 톡비즈 매출은 카카오 비즈보드(카톡 광고) 매출 확대와 커머스 매출의 성장으로 전분기 대비 11%,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한 2484억원이다. 모빌리티, 페이 등 신사업 부문 매출은 전분기 대비 26%, 전년 동기 대비 149% 증가한 1268억 원으로 집계됐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이날 실적발표 이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카톡의 2분기 글로벌 이용자 수는 5200만명을 돌파했다”며 “국내 일간순방문자(DAU)는 전분기 대비 9% 이상 성장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5200만 이용자를 보유한 카톡 플랫폼 기반으로 광고·커머스·모빌리티·페이 등 사업 호조세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우선 카카오는 올해 톡비즈 부문 매출 1조원 달성이 충분할 것으로 내다봤다. 선물하기, 메이커스 등 커머스의 2분기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또 1년 새 8500여 누적 광고주를 확보한 톡보드는 8월 초부터 카카오페이지, 다음포털 프리미엄 지면에 적용된다.

모빌리티, 페이 등 신사업에서도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카카오페이의 2분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성장한 14조8000억원을 기록, 카카오모빌리티의 올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배재현 부사장은 “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 카카오T대리, 주차, B2B 등 신규 수익원 확대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훨씬 뛰어넘는 성장을 기대 중”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의 2분기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분기 대비 8%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4602억원이다. 유료콘텐츠 매출은 카카오재팬의 글로벌 거래액 증가와 카카오페이지의 IP 사업 가치 확대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23%, 전년 동기 대비 46% 성장한 119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카카오재팬 픽코마의 거래액은 전년 대비 약 2.5배 성장했다.

특히 콘텐츠 부문의 해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했다. 카카오 측은 오는 2022년 한국을 제외한 카카오재팬의 해외 매출 목표를 1조원으로 잡았다.

또 카카오는 하반기부터 카톡에 카카오M의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를 선보이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여 대표는 “카카오M은 따로 국내 경쟁사를 염두해놓고 사업하고 있지 않다”며 “카카오M의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는 모바일에 적합한 UI와 UX를 갖춘 형태로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하며, 또 다른 콘텐츠 영역을 개척할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그는 “카카오 시즌2는 기술과 사람이 만드는 더 나은 세상이라는 새로운 미션으로 존재 이유를 재정의하려고 한다”며 “플랫폼 성장만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기술과 영향력으로, 이용자와 파트너를 돕는 동반성장을 통해 더 큰 도약을 위해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