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금융지원 297조원
|
도 부위원장은 이날 열린 경제 중대본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시장금리 상승은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증가한 가계 및 기업부채의 상환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또 “첫 백신접종이 시작된 만큼 하루 빨리 경제가 정상화되기를 기대한다”면서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이 위기로부터 회복을 넘어서 선도경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잠재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금융백신’ 잘 작동할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재확산과 경제회복 지연 등을 고려해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조치를 9월까지 재연장하는 데 금융권의 뜻을 모았으며, 금융대응조치를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기 위한 준비를 병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전 금융권에 적용되고 있는 자본·유동성·영업규제 등의 유연화 조치를 함께 연장하고, 금융기관들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당금 적립 등 보수적인 자본관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도 위원장은 또 2022년 1월 이후 리보 금리(Libor·런던 은행 간 금리) 산출 중단이 예상됨에 따라 금융권이 긴장감을 갖고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 도 부위원장은 “시장참여자 투표 등을 거쳐 무위험지표금리(RFR)로 국채·통안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가 최종 선정됐다”며 “올해 3분기까지 적용 금리를 리보에서 대체 금리로 전환하는 작업을 끝내고 4분기 이후로는 리보연동 계약의 신규 체결을 중단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권은 이달 19일까지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으로 총 274만3000여건, 296조7000억원을 지원했다. 신규대출이 122조4000억원, 기존대출·보증 대상 만기연장이 174조3000억원 규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