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은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미스매치 확대…고착화 가능성도 상존”

한은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미스매치 확대…고착화 가능성도 상존”

기사승인 2021. 03. 01.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실업률 상승, 채용 부진 등 부정적 영향
고착화시 고용회복 상당기간 지연 우려
clip2021030110535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미스매치 지수가 큰 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병 충격으로 인한 취업난 가중 등으로 인해 노동시장의 효율성어 떨어진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미스매치 상황 평가(조사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노동시장 미스매치 지수는 11.1%였다. 이는 2018~2019년 평균인 6.4%보다 급증한 수준이다. 지난해 미스매치 지수는 1분기 6.9%, 2분기 7.3%, 3분기 9.2% 등으로 지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주로 두 가지 요인이 있다고 봤다. 우선 코로나19가 산업별 경기에 불균등하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산업간 구인·구직 격차가 크게 확대되는 등 산업간 노동수급 상황이 차별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노동시장 구인-구직간 매칭의 효율성 정도를 나타내는 매칭효율성이 2020년 이후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매칭효율성 하락은 코로나19 충격이 진행되는 가운데 구직단념자가 크게 증가한데 따른다.

황수빈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노동시장 미스매치는 실업률 상승, 채용 부진, 노동생산성 하락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코로나19 이후 그 수준이 확대됐다”며 “이는 감염병 충격이 일부 취약부문에 집중된 데다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노동시장의 효율성이 저하된 데 크게 기인한다”고 말했다.

특히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미스매치 지수가 크게 상승한 뒤 높은 수준을 지속했던 점에 비추어 볼 때, 이번 충격이 구조적 문제로 고착화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또한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심화는 실업률 상승, 채용 부진, 노동생산성 하락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노동시장 미스매치가 확대되면서 실업률이 상당폭 상승했으며, 미스매치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최적 취직률(실업→취업)과 실제 취직률 간 차이인 고용 손실(취직률 손실)도 크게 확대된 것으로 평가했다.

향후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더라도 미스매치 심화로 인한 채용 부진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더불어 산업간 노동배분의 비효율성으로 인한 노동생산성(부가가치/취업자수) 손실은 2020년중 1.9%로 확대될 것이라고 봤다.

무엇보다 노동시장의 미스매치가 고착화될 경우 낙인효과 등으로 고용회복이 상당기간 지연되고 비효율적 노동배분으로 인한 노동생산성 손실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황 과장은 “이에 따라 공공 및 민간 고용지원 서비스를 활성화해 기업 및 구직자간 정보 비대칭성을 완화하는 한편, 인력이 부족한 산업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을 강화함으로써 산업간 고용재조정을 유도하고 노동생산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