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인플레 압박에… 한은 금리 동결 기조 이어가나

인플레 압박에… 한은 금리 동결 기조 이어가나

기사승인 2021. 05. 20. 19: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7일 금통위에 쏠린 눈
전문가 "금리동결 기조 유지하되
인플레이션 압력 우려 언급 할듯"
20210415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_사진1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 4월에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결정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제공=한국은행
국내외 물가인상(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지는 가운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 향방을 어떻게 이끌어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공식 언급함에 따라 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도 ‘유동성 줄이기’에 예상보다 빨리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아직 서비스 업종에 대한 위축이 이어지고 있고, 고용문제도 여전한 만큼 금리 동결 기조는 유지하되, 인플레이션 압력 우려에 대한 언급이 나올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27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이번 달 기준 금리를 결정한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금리 인상하기엔 아직 ‘시기상조’라면서도 앞으로 1년 안팎으로 금리 인상 기조가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파트장은 “우리나라 경제전망이 개선되고 미국보단 코로나19 충격이 심하지 않은 만큼 금리 정상화 기대치도 미국보단 앞서가고 있다”며 “8월 금통위 등 하반기에 소수의견으로라도 ‘금리 인상’에 대한 의견이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 인상 등 긴축 정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매파’ 분위기가 금통위에서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도 “미국이 락다운(Lock-down)을 크게 완화하는 시점까지 빠르면 2~3달로 보고, 그 이후 금리가 오를 것으로 본다”면서 “다만 고용시장과 인플레이션 현황 등을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긴축 기조로 전환할 경우 국채 등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외화 유출로 이어질 수 있어 결국 우리나라도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경기 회복세가 보이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FOMC 회의록에서도 명시한 만큼 시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면서 “우리나라는 아직 경기회복세가 충분하지 않지만,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도 금리 상승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실제 금리 인상까지는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윤 파트장은 “내년 1분기까지 백신 접종 등을 통한 집단 면역 확보와 추가 재정 부양 등 여러 논의가 진행되는 만큼 금리 인상 시기는 내년 7월께로 본다”고 말했다.

박 애널리스트도 “미국 FOMC는 테이퍼링에 대해 원론적인 정도만 언급해 해당 언급이 우리나라 정책변화에 특별한 시그널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면서 “미국 금리는 당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급하게 금리 인상에 나서진 않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김영한 성균관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 미 금리가 장기적으로 올라가는 건 정해진 사실”이라며 “휘청이는 경제 상황을 볼 때 미국이 급격한(radical) 금리 인상을 추진하면 중남미뿐 아니라 전세계 개발도상국에 충격이 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못지 않은 충격이 미국에도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FOMC 발언도 물가 인상 압력을 우려하는 보수파를 의식한 정치적인 목적으로 금리 인상을 적극 고려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금리 인상 논의가 이어지긴 하겠지만 시장 충격을 주는 않는 차원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논의가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