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정부부처 개별통신망을 통합한 ‘국가융합망’ 서비스 개통

정부부처 개별통신망을 통합한 ‘국가융합망’ 서비스 개통

기사승인 2021. 06. 14.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범정부 네트워크 기반환경 조성
행정안전부 로고
그동안 개별로 운영됐던 정부부처 통신망이 ‘국가융합망’으로 통합되며 증가하는 통신수요에 대응해 디지털기반 정부혁신을 주도한다.

이와 관련해 행정안전부는 48개 정부부처의 개별통신망과 국가정보통신망(K-net)을 통합하는 ‘국가융합망’ 백본망(Backbone Network, 주요 노드를 연결하는 고속 전용회선 연결망) 구축을 지난 4월 완료하고, 이달 15일 국가인권위원회를 시작으로 국가융합망 서비스를 개통한다고 14일 밝혔다.

국가융합망은 각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구축·운영하던 정보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한 범정부 국가통신망이며, 국가융합망이 구축되면 △통신수요 대응 △안정적 운영 △효율성 제고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먼저 각 부처에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한, 재난 등과 같이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중단 없는 안정적인 국가통신망 제공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각 부처 간 중복투자 방지 및 중복회선 통합을 통해 통신비 예산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안부 국가정보관리원은 2020년 9월부터 국가융합망 사업에 착수해 2021년 4월 국가융합망 구축을 완료했으며, 2022년까지 3단계에 거쳐 48개 국가기관과 국가정보통신망(K-Net) 전환을 추진한다.

이번에 추진되는 1단계는 국가인원위원회 등 22개 기관이 국가융합망을 사용하게 된다. 올해 하반기에 추진되는 2단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11개 기관이, 내년에 추진되는 3단계는 고용노동부 등 15개 기관이 전환·수용돼 국가융합망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국가융합망은 안전한 통신망 구현을 위해 통신사업자를 이원화해 2개의 백본망(1망: SK브로드밴드, 2망: LG U+)으로 구축됐다. 제1망은 시·도 중심으로 전국 38개 노드를, 제2망은 정부청사 중심으로 전국 21개 노드를 연결하는 그물망(Mesh) 방식으로 구성했으며, 노드(node)·회선·장비의 이중화로 안정성을 강화했다.

특히 국가융합망에 도입된 신기술(SDN, Software Defined Network)을 활용해 각 부처의 트래픽 증가에 따라 신속·탄력적으로 증설이 가능하다.

아울러 국가융합망 망운용센터(NOC:Network Operations Center)를 구축해 24시간 365일 통신망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한 장애탐지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통신사업자로부터 전송망 관리정보를 제공받아 다양한 네트워크 현황을 시각화하고, 각 부처별 맞춤형 망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부처 간 교차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을 지원한다. 또한 실시간 선로상태 관제로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장애구간 파악이 가능해 장애 복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2022년까지 48개 국가기관을 국가융합망으로 단계별 전환을 마무리하고, 양자암호통신 적용을 통한 보안이 강화된 통신망 구축 등 신기술을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할 계획이다.

전해철 행안부 장관은 “국가융합망 구축으로 4차 산업혁명을 대응 할 수 있는 범정부 네트워크 기반 환경이 조성됐다”며 “이를 토대로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고품질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3단계까지 성공적으로 국가융합망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