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진·이광재·양승조·최문순' 이어 다섯번째 출사표
|
정 전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 누리꿈스퀘어에서 출마선언식을 열고 “대한민국의 모든 불평등과 대결하는 강한 대한민국의 경제대통령이 되겠다”며 대선 도전을 공식 선언했다.
정 전 총리는 이어 ‘미래 경제를 지휘하고 먹거리를 만드는, 밥 짓는 경제 대통령’ 모델을 위한 △혁신 분야에 대한 집중 투자 △소득 4만달러 시대 개척 △돌봄이 강한 대한민국 등 세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소득 4만달러·반의반값 공공분양·청년고용 보장제’ 강조
그는 “소득 4만불 시대를 열기 위해 담대한 사회적 대타협을 제안한다”며 “재벌 대기업 대주주들에 대한 배당과 임원 및 근로자들의 급여를 3년간 동결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 여력으로 불안한 여건에서 허덕이는 하청 중소기업들의 납품 단가인상과 근로자 급여 인상을 추진하면 어떻겠느냐”며 “비정규직 우대 임금제도 도입해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정 전 총리는 특히 청년고용 한시적 국가보장제 도입, 20살이 되는 청년에게 1억 원의 자금을 밑천으로 쓸 수 있도록 정부가 보장하는 ‘미래씨앗통장’ 공약을 언급하며 청년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부동산 해법으로는 ‘공공분양’, ‘공공임대주택 공급’ 등을 제시했다. 정 전 총리는 “저는 부동산을 잡을 게 아니라 부동산을 짓겠다”며 “청년과 서민에게 공공임대주택 공급폭탄을 집중적으로 투하하겠다”고 강조했다. 임기 중 공공임대주택 100만호를 공급하고, 공공분양아파트 30만호 중 절반은 반값에, 나머지 절반은 반의 반 값 가격으로 공급하겠다는 취지다.
그는 아울러 “검증 받지 않은 도덕성, 검토되지 않은 가능성은 국민께 신뢰를 받을 수 없다며 자신은 도덕적으로 검증된 지도자라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당내 1위 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야권 유력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향해 동시에 날린 견제구라는 해석이 나왔다.
가장 눈에 띈 점은 정 전 총리가 청년들과 자유로이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2030 토크쇼’로 행사를 시작한 대목이다. 정 전 총리는 한 청년으로부터 지지율 정체와 관련한 질문을 받은 뒤 ”저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처음 시작하실 때는 저보다도 지지율이 낮았지만, 몇 달만에 후보도 되고 당선도 되셨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편, 출마선언식에는 SK(정세균)계 의원들이 총출동한 것은 물론 경쟁 주자인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이광재·김두관 의원 등도 대거 참석했다. 이번 대선 공식 출마 선언은 박용진·이광재 민주당 의원, 양승조 충남도지사, 최문순 강원도지사에 이어 다섯 번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