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는 이날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 국정감사를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저도 아직 믿기지 않는 상황인데, 국가기관이 수사해보니 유착 가능성이 높다고 법원이 구속까지 했으니 뭔가 잘못이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관련 공직자 일부가 오염되고 민간사업자가 유착했다는 의혹에 대해 인사권자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불로소득 개발이익을 최대한 환수하려 노력했지만, 제도적인 문제이든 국민의힘의 조직적 방해든 완벽한 환수를 못한 점에 대해서는 유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만약 (혐의가) 사실이라면 그 점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인사권자로서 직원관리는 100% 못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자세를 낮췄다.
대장동 개발사업 당시 인사문제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면서도, 연루설에 대해서는 부인한 것이다.
아울러 이 후보는 대장동 사업의 본질이 ‘최대한의 공익환수를 한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지금 개발이익이 상승했지만 (민간이 챙긴 몫은) 4000억원 정도고, 성남시가 회수한 것은 현재 가치로 따지면 7000억원 가까이 될 것”이라며 “그런 것을 계산하지 않더라도 성남시가 회수한 것은 5800억원 가까이가 된다. 6대4정도로 성남시 몫이 많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며 “인터뷰를 하러 왔던 분이어서 전화번호부에 기록해놓았고, 그 이후 한 번 본 것이 다”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