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화디펜스, 호주에 궤도차량 생산공장 착공…국내 방산업체 최초

한화디펜스, 호주에 궤도차량 생산공장 착공…국내 방산업체 최초

기사승인 2022. 04. 08. 18:4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아발론 공항 내 15만m² 부지에 ‘H-ACE’ 건립
2024년부터 AS9 ‘헌츠맨’ 자주포 생산 시작
글로벌 수출 확대 ‘전초기지’ 역할 기대
KakaoTalk_20220408_135920402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강은호 방위사업청장, 손재일 한화디펜스 대표이사 등 주요 인사들이 8일 호주 빅토리아주 질롱시에서 열린 한화디펜스 장갑차 생산센터(H-ACE) 착공식에서 참가자들이 시삽을 하고 있다. / 질롱(호주)=국방부공동취재단
K-9 자주포 등을 생산하는 대한민국 대표 방산기업 한화디펜스가 8일 호주에 한국 방산기업 최초로 해외 생산기지 건설에 들어갔다.

한화디펜스는 이날 호주 빅토리아주 질롱시 아발론 공항에서 한화장갑차 생산센터(H-ACE)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착공식에는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빅토리아주 주요 관계자들, 손재일 한화디펜스 대표이사, 리처드 조 한화디펜스 호주법인장 등이 참석했다.

15만㎡ 부지에 세워지는 H-ACE에는 3만2000㎡크기의 생산공장을 비롯해 1.5㎞ 길이의 주행트랙 및 시험장, 도하 성능 시험장, 사격장, 연구개발(R&D)센터 등 각종 연구시험 시설이 들어서고 호주 협력업체 공장들도 입주한다. 2024년 완공되면 K-9 자주포의 호주형 모델인 AS9 헌츠맨 30문과 AS10 방호탄약운반장갑차 15대가 생산된다.

KakaoTalk_20220408_135920402_03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8일 호주 빅토리아주 질롱시에서 열린 한화디펜스 장갑차 생산센터(H-ACE) 착공식에서 K-9 내부에 앉아 웃고 있다./질롱(호주)=국방부공동취재단
한화디펜스와 호주 정부는 지난해 12월 1조원 규모의 1차 자주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발표 예정인 호주 미래형 보병전투장갑차 사업(LAND 400 Phase 3)에도 한화디펜스가 개발한 최첨단 보병전투장갑차 ‘레드백’(Redback)이 최종 후보로 올라있다. 레드백이 선정되면 이곳에서 대규모 생산이 이뤄질 수 있다.

모리슨 총리는 축사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안보에서 한국과의 협력이 핵심”이라며 양국 간 안보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특히 모리슨 총리는 “오늘 착공식은 호주와 한국이 구축해 온 협력을 상징한다”며 “생산시설 착공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양국 정부는 불확실한 시기에 이 같은 결정을 내렸고 이처럼 불확실한 시기에 사업협력을 한다는 것은 서로 그만큼 신뢰를 쌓았다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KakaoTalk_20220408_135947660_01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등 8일 호주 빅토리아주 질롱시에서 열린 한화디펜스 장갑차 생산센터(H-ACE) 착공식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조감도를 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 질롱(호주)=국방부공동취재단
멜버른에서 70㎞ 떨어진 질롱시는 지난 2018년 포드, 홀덴 등 자동차 공장들이 철수하면서 지역 경제에 한파가 닥쳤지만 이번 H-ACE 착공을 계기로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새라 핸더슨 빅토리아주 상원의원은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며 “100여명의 고용효과가 있고, 프로젝트 운영기간 동안에는 300명 이상의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기대했다.

KakaoTalk_20220408_135947660_04
8일 호주 빅토리아주 질롱시에서 열린 한화디펜스 장갑차 생산센터(H-ACE) 착공식에 전시된 K-9 자주포와 K-10 탄약운반장갑차. / 질롱(호주)=국방부공동취재단
한화디펜스는 이 같은 현지화를 바탕으로 한 호주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토대로 방산수출 확대를 노리고 있다.

손재일 한화디펜스 대표이사는 “아시아의 방산 기업이 호주에 진출한 최초 사례”라며 “호주는 파이브아이즈(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 5개국의 기밀정보 공유 동맹) 일원으로 국제 안보 동맹을 강화하고 있어 우리가 추진하는 미국과 영국 진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