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정상, 북 핵·미사일 재원 조달 차단 경제적 압박 방법 논의"
'협상 용의' 빼고, 대북제재 강화 강조...대러·중 강경 제재 분위기 영향
|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린 독일에서 나토 정상회의가 열리는 스페인 마드리드로 이동하는 미국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간담회를 하고 29일 예정된 한·미·일 정상회담이 3국 정상 간에 오랜만에 열리는 것이라며 “특히 장기간에 걸친 강력한 (미사일) 시험 및 다른 도발적인 활동 이후 계속되는 북한의 위협에 주로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 회의에서 더 광범위하게 인도·태평양 파트너와 나토 동맹국과 함께 중국의 도전과 그 도전이 이번 나토의 (새로운) 전략개념에 반영되는 것처럼 나토 동맹국에 점점 더 관련된 요소가 되는 현상에 관해 논의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0년 마지막으로 채택된 ‘전략개념’에는 중국에 관한 언급은 없었지만 이번에는 처음으로 중국을 ‘체제적(systemic) 도전’으로 규정으로 전해졌다.
|
이어 “이러한 새로운 수익원을 차단하는 방법을 끊임없이 찾을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앨런 장관과 한국의 재무 감시 당국이 실질적으로 합의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설리번 보좌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특히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필요한 재원을 북한이 조달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을 비롯해 경제적 압박 차원에서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설리번 보좌관은 한국과 일본·호주·뉴질랜드 정상이 이번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것이 처음이라며 “이는 인도·태평양 지역과 유럽·대서양 지역 간 안보 측면에서의 연계성이 심화하고 있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매우 강력한 견해이자 중심 전체와 일치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태평양과 유럽·대서양의 동맹 간 유대가 심화해야 한다며 “이는 나토가 태평양 전쟁에서 싸울 것이기 때문이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동맹과 유럽·대서양 동맹의 견고함과 활력 사이에 상호 연계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