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고용부)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은 지난해 231명에서 올해 219명으로 12명 줄었지만, 제조업은 이 기간 116명에서 125명으로 9명 늘었다.
고용부는 "사망자 수는 건설업에서 가장 많은 가운데 특히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사고가 자주 발생했다"며 "추락·끼임 등 전형적인 사고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9일 기준 고용부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입건한 사건은 56건, 압수수색 횟수는 23건으로 집계됐다. 고용부는 21건에 대해 조사를 마친 후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고용부는 이달 말 근로자 사망 등 중대산업재해를 감축하기 위한 로드맵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근로자 1만명당 산재 사망사고자 수를 일컫는 사망사고 만인율을 5년 이내에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수준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