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세계은행 올해 경제성장률 3.0%→1.7% 하향…“경제 침체 위험 커”

세계은행 올해 경제성장률 3.0%→1.7% 하향…“경제 침체 위험 커”

기사승인 2023. 01. 11. 09: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인플레이션, 우크라 전쟁, 중국 코로나 등 이유
파월 "물가 안정 위해 인기 없는 조치도 필요"
캐나다 재무장관과 회담하는 옐런 美재무장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왼쪽)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재무부 청사에서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캐나다 부총리 겸 재무장관과 회담을 하고 있다. / AP=연합뉴스
세계은행(WB)이 10일(현지시간)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을 1.7%로 대폭 낮췄다. 지난해 6월 전망치인 3.0%보다 1.3%포인트 하향 조정한 것이다.

세계은행은 이날 공개한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질 위험이 매우 클 정도로 성장이 둔화했다"며 이 같은 전망치를 발표했다. 진정세에 있긴 하지만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우크라이나 전쟁 및 중국의 코로나19 상황이 전망 하향의 이유로 꼽혔다.

올해 전망치는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침체를 겪은 2009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지난 30년간 가장 낮은 것이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경기 둔화가 지속될 것이 심히 우려된다"고 말했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2.7%로 전망됐다.

세계은행은 선진국의 95%, 신흥 경제와 개발도상국의 약 70%에 대해 성장률 전망을 기존보다 낮췄다. 특히 선진국 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2.5%에서 올해 0.5%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성장률은 기존보다 1.9%포인트 낮은 0.5%로 하향 조정됐는데 1970년 이후 공식 침체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치다. 유로존도 1.9%포인트 하향했다. 중국은 기존보다 0.9%포인트 하향했지만 올해 4.3% 성장률로 지난해(2.7%)보다 회복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에 대한 전망은 언급되지 않았다.

세계은행은 주요 선진국이 고물가를 잡기 위해 동시에 긴축 정책을 펼치면서 금융 환경이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등 악영향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 전체적인 하향 이유라고 설명했다. 또 다수 국가에서 자산 가격의 동시 하락과 투자 위축, 주택시장 악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경제 규모가 작아 외부 요인에 취약한 개도국들의 위기가 세계 경제에 나비효과를 미칠 우려도 언급됐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 경제와 개도국의 성장률은 지난해 3.8%에서 올해 2.7%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맬패스 총재는 "신흥 경제와 개도국은 막대한 채무 부담과 투자 위축 때문에 수년간 저성장에 직면한 가운데 선진국은 매우 높은 수준의 국가부채와 금리 인상을 마주한 상태에서 세계 자본을 빨아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은 국제사회가 이들의 기후변화 대응과 채무 관리를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중국 정부의 갑작스런 고강도 방역 정책 폐지는 올해 세계 경제의 변수 중 하나로 지목됐다. '제로 코로나' 폐지로 중국 소비가 늘어나면 물가 상승 가능성이 있는 반면 공급망 차질에 대한 위험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마크 윌리엄스는 "중국이 코로나19에서 벗어나면서 봉쇄를 하지 않을 것을 보이며 공장이 문을 닫을 가능성도 작아졌다"며 "인플레이션과 관련한 위험이 하나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다수 전문가들이 2023년이 힘든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체이스 CEO(최고경영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6%까지 올려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는 연준 위원들이 예상한 5%~5.5%보다도 높은 수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물가 안정을 회복하려면, 금리 인상으로 경기가 둔화하는 것과 같이 단기적으로 인기가 없는 조치가 요구될 수 있다"며 긴축 기조를 이어갈 것을 재확인했다. 그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서도 권한을 사용해야 한다는 일각의 압박에 "연준의 통화정책 독립성은 중요한 제도적 장치"라며 "연준은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 목표를 위한 수단을 쓰고, 대중과 의회의 효과적인 이해·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투명성을 제공함으로써 그 독립성을 지속해서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실책론을 지적되던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최근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독대를 통해 유임 요청을 받아들여 바이든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도 함께할 전망이라고 블룸버그와 폴리티코가 전했다. 옐런 장관은 본래 자리에서 물러날 생각이었지만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처리 등 입법 성과가 심경 변화에 상당히 기여했다고 폴리티코는 보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