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2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동자 수는 615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7%(106만1000명) 줄었다.
인구이동 감소 폭은 1979년(108만6천명) 이후 43년 만에 가장 컸다. 감소율은 1976년(-24.8%) 이후 4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도 작년 12.0%로 1972년(11.0%) 이후 최저치였다.
|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1∼11월 주택매매량은 48만건으로 1년 전 같은 기간의 96만1000건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 감소했다"며 "이를 통해 짐작해보면 주택시장이 덜 활발해 주택 관련 이동자 수요가 줄어 전체 이동자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인구 고령화도 인구이동 감소에 한 몫 했다. 고령인구 비중이 커질수록 인구 이동률은 낮아진다. 작년 이동률을 보면 60대 이상은 5.4∼7.4%로 20대(23.1%)와 30대(18.9%)보다 낮았다.
지역별로는 전국 17개 시도 중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인구 순유입이 일어난 시도는 경기(4만4000명), 인천(2만8000명), 충남(1만4000명), 세종(1만명), 강원(7000명) 등 7곳이다.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일어난 시도는 서울(-3만5000명), 경남(-1만9000명), 부산(-1만4000명), 대구(-1만2000명), 울산(-1만명) 등 10곳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전출한 인구가 123만7000명, 전입한 인구는 120만2000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의 인구는 1990년 이후 33년째 순유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