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김기현號 첫 고위당정, “한·일 협력, 과거가 발목잡아선 안 돼”

김기현號 첫 고위당정, “한·일 협력, 과거가 발목잡아선 안 돼”

기사승인 2023. 03. 19. 17:3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주호영 "강제징용 배상 문제 성공 여부, 양국의 노력에 달려있어"
한덕수 "尹, 한일 협력이 과거 역사에 발목 잡혀선 안된다는 역사 인식 가져"
기념 촬영하는 당정협의 참석자들
한덕수 국무총리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등 참석자들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당정 협의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
김기현 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가 첫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윤석열 정부의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양자 간 경제·안보 분야에서의 실질 성과를 부각하며 긍정 평가했다.

19일 오후 국무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는 김기현 당대표, 주호영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와 한덕수 국무총리를 포함한 정부 측 장관들을 비롯해 대통령실 인사들이 참석했다. 김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한·일 관계가 정상 복원되고, 반도체 소재 수출과 지소미아 또한 정상화 됐다"며 "한·일 경제안보 협의체 신설과 장·차관 대화 창구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김 대표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이재명 방탄으로 국회를 망가뜨리더니 이제는 비명계의 양심선언을 억누르려 외교문제도 방탄 삼는다"며 "아무런 대안도 없이 반대를 위한 반대만 일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에 대해 민주당이 연일 거센 지적을 하는 것에 대한 반발로 보인다.

그는 "모든 나라가 국익을 최우선으로 협력하는 상황에서 가까운 나라인 한국와 일본이 뒤돌아있는 것은 양국 모두 큰 손해"라며 "당정의 역량을 총동원 해서 한·일 정상회담 성과가 체감되도록 후속조치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주 원내대표도 이날 모두발언에서 "윤 대통령이 결단 내린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사이 해묵은 문제가 해소 됐고, 동북아시아 역사를 공유하며 새 미래를 열 발판을 마련했다"며 미래지향적 양자관계를 강조했다. 이어 "강제 징용 배상 문제의 성공 여부는 양국의 노력에 달려있다"면서 "당정이 힘을 합쳐 피해자·유족·국민에 이해를 구하고 포괄적 한일 협력 방안을 마련해 일대 전환을 구체화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민주당을 향해선 "한·일 위안부 협정을 파기한 것도 아니고 파기하지 않은 것도 아닌 무책임한 상태"라며 "문재인 대통령 이후 아무 대안 없이 반일 감정만 국내 정치에 이용해 얻은 것이 없다"고 질타했다.

이날 정부를 대표해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는 "세계적 국정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한·일 협력이 과거 불행한 역사에 발목 잡혀선 안 된다는 역사 인식이 윤 대통령으로 하여금 한·일 관계를 주도적으로 결단할 수 있게 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계 모든 주요 국가가 한·일 관계의 개선을 위한 윤 대통령의 결단을 존중하고 있다"며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서 양국은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 구축에 합의하고 미래지향적 협력을 증진 시키기로 했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결단은) 우리가 반드시 가야하는 필수적인 방향"이라며 "정부는 당과 협조해서 방일을 계기로 한·일 관계가 더 크게 발전하도록 후속조치를 만들고 추진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도 한반도 정세의 안정화와 글로벌 공급망 위기 극복을 위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의 시급성을 부각했다. 김 실장은 "(회담은) 북핵 위협이 가중되고 미중 패권 갈등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인한 세계 경제 대변환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또 "야당과 관련 시민 단체들이 반대하지만 그렇다고 대안도 없이 한·일 관계를 종전 같이 무책임하게 방치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고위당정협의회에서는 한·일 정상회담 후속 조치, 부산엑스포 유치 방안, 남부지방 가뭄 대책, 근로 시간 개편안 등 세부 정책 사안을 논의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