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칼럼] 우리 로봇, 외식업계 지원군 되려면

[칼럼] 우리 로봇, 외식업계 지원군 되려면

기사승인 2023. 05. 25. 16:5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호정 알지티 대표
[이미지] 알지티(RGT) 정호정 대표 증명사진
정호정 알지티 대표
자고 일어나면 안 오른 게 없다는 볼멘소리가 여기저기 터져 나온다. 정부가 물가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지만, 아랑곳 하지 않고 매일 치솟는 물가에 긴 한숨만 나올 뿐이다. 외식업체가 맞닥뜨린 현실은 더 참혹하다. 물가 상승에 따른 부담은 고스란히 떠안은 채, 인력난이라는 이중고까지 겪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2년 하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음식점·주점 등 외식업의 '미충원 인원'이 무려 1만2757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원 인원은 구인공고를 냈지만 채용하지 못한 규모를 의미한다. 부족한 인력 비율을 뜻하는 '인력부족률'은 5.3%까지 높아져 70개 산업군 중 6위를 기록했다. 설령 어렵게 인력을 구한다 한들 쪼들리는 상황에서 고비용의 인건비를 부담해야 하니 그야말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노릇이다.

상황이 이러 하자, 최근에는 외식업체들이 대안으로 로봇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간 사람이 도맡았던 서빙 업무를 비롯해 크게는 주문이나 결재 등의 업무까지 로봇으로 대체할 수 있어, 구인난 나아가 인건비에 대한 부담까지 덜어주니 말이다.

하지만, 이 마저도 쉽지 않은 판이다. 수 천만원에 달하는 국산 서빙로봇을 영세한 업장에 들이기에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 저가 중국산 로봇으로 차선의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자영업자의 속내가 이해되는 이유다. 그래서 일까? 한국로봇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서빙로봇의 70%를 중국산으로 보고있다. 10대 중 7대가 중국 제품인 셈이다.

중국산 로봇 이용으로 감수해야 하는 부담도 따른다. 중국산 제품의 특성상 조작을 위해 천장에 보조 마커를 설치하는 등 부수적인 인테리어 작업 등을 요하기 때문이다. 더 심각한 것은 중국산이 한국 시장을 이대로 장악하면 개인정보를 포함한 각종 유통 시장 정보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짊어지고 가야만 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서빙로봇 제조사들도 렌탈이나 필요한 기능만 넣어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외식업체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방안을 속속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이 보다는 정부가 나서 보다 근본적인 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중국산 로봇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오히려 중국 로봇의 입지만 키워주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사업'을 통해 중국산 서빙로봇을 들여도 구매자에게 공급가액 70%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봇을 필요로 하는 외식업체의 매장 운영 효율화, 나아가 우리의 미래 로봇 산업의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 로봇 기업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차별화된 기술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구매자와 로봇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만 진정한 지원군 역할을 톡톡히 해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을 넘어 'K로봇'으로 발돋움 할 수 있을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