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물 길이 15m...발사체 총 길이에 절반 이상 추정
|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1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우리가 확보해 인양해야 될 부분은 2단체로 보고있다"며 "그 이상, 3단체와 탑재체(정찰위성) 부분은 지속적으로 추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서해상에 낙하한 발사체 잔해를 인양하는 중"이라며 "예상했던 것보다 무거워 다른 장비를 투입하고 있고, 시간이 좀 더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장관은 "이틀 정도, 내일 모레까지는 가야 하지 않을까 한다"고 덧붙였다.
또 이 장관은 "(3단체와 탑재체의) 확보가 가능할지는 좀 더 봐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장관은 낙하물이 떨어진 지점과 관련해 "낙하물이 떨어진 구역은 100㎞ 이상"이라며 "정상으로 비행하면 비행하는 거리, 탄착지점을 예측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중간에 비정상적으로 떨어졌기 때문에 낙하지점을 예상할 수 없어 이제부터 찾아내야 하는 그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하지만 이 물체는 인양작전 도중 바다속으로 가라앉아 이날 현재 바다밑 75m 지점에 수평으로 누어진 상태라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합참은 이 물체의 길이는 15m, 직경은 2~3m로 판단하고 있으며 무게도 꽤 나갈 것으로 추정했다.
북한이 이날 공개한 사진 등을 분석한 전문가들이 북한 발사체의 총길이를 30m 내외로 분석한 만큼 현재 바다밑에 가라앉은 물체는 북한 발사체의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 등을 분석한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북한 발사체에 대해 △총 길이 29m △1단 추진체 길이 8m, 직경 2.4m △2단 추진체 길이 7.2m, 직경 1.8m △3단 추진체 길이 4.5m, 직경1.8m △페어링 길이 5.3m, 직경 3.1m 등으로 평가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책임분석관 역시 북한 발사체의 총 길이를 28m 내외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