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일본 방위성 “북 탄도미사일 기술 이용 발사체, 복수 분리 3개 해역 낙하”

일본 방위성 “북 탄도미사일 기술 이용 발사체, 복수 분리 3개 해역 낙하”

기사승인 2023. 08. 24. 08:4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방위성 "북 탄도미사일 기술 이용 발사체, 복수 분리 3개 해역 낙하"
일본, 총리 주재 NSC 회의 개최
요격·발사체 궤도 낙하지점 예측·위험물질 제거·구호 부대 대비
북 2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NORTHKOREA-SATELLITE/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24일 오전 도쿄(東京) 총리 관저에서 기자들에게 북한이 이날 새벽 발사한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교도(共同)·로이터·연합뉴스
북한이 24일 새벽 발사한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체는 복수로 분리돼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바깥쪽 3개 해역에 낙하했다고 일본 방위성이 이날 밝혔다.

방위성은 북한의 분리된 발사체가 이날 오전 3시 58분께 한반도 서쪽 300㎞ 서해와 오전 3시 59분께 한반도 서쪽 약 350㎞ 지점 동중국해에 각각 낙하한 것으로 추정했다고 일본 NHK방송 등이 보도했다.

이어 발사체는 오전 4시께 오키나와(沖繩)현 본섬과 사키시마(先島) 제도의 미야코지마(宮古島) 사이 상공을 통과한 뒤 4시 5분께 필리핀 동쪽 약 600㎞ 지점 태평양에 떨어진 것으로 추정됐다.

낙하물은 모두 일본의 EEZ 밖에 떨어졌으며, 북한이 지난 22일 인공위성 발사에 따른 해상 위험 설정 구역으로 통보한 3곳의 밖이었다고 방위성은 전했다.

북한 인공위성 발사체
북한이 5월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6월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방위성은 이번 발사체의 일부가 우주공간에 진입했는지 등을 계속 분석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5시 38분부터 도쿄(東京) 총리 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외무상·하마다 야스이치(浜田靖一) 방위상·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국가안전보장국장 등이 참석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4개 부처 장관 회의를 20분 동안 열고, 안전 확인과 정보 분석, 그리고 향후 대응 등을 논의했다.

일본 정부는 24일 오전 3시 54분 북한이 탄도미사일 가능성이 있는 물체를 발사했다며 전국 순시 경보시스템(J Alert)을 발령하고, 경보 방송 시스템을 통해 "북한에서 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오키나와(沖繩)현 주민에 대피를 요청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 등이 보도했다.

하지만 북한은 이날 2번째 군사 정찰 위성 발사가 실패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신형위성운반로케트 천리마-1형의 1계단(단계)과 2계단은 모두 정상 비행했으나 3계단 비행 중 비상폭발 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고 전했다.

김정은, 트랙터 공장 시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3일 남포시 강서구역에 있는 금성뜨락또르(트랙터) 공장을 현지 지도했다고 24일 보도했다./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앞서 북한은 지난 5월 31일 '만리경 1호'라는 군사정찰위성을 '천리마 1형' 로켓에 탑재해 발사했지만 직후 서해에 추락하자 조속한 시일 내 재발사할 것이라고 발표했었다.

이에 하마다 방위상은 5월 29일 자위대에 내린 파괴 조치 명령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요격 대상으로 '방위 시스템으로 일본 영역에 낙하하는 것이 확인된 것'을 규정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일본 영공과 주변 공해, 그리고 배타적경제수역(EEZ) 상공으로 날아오는 발사체에 대한 요격을 명령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자위대는 요격 부대를 오키나와에 집중적으로 배치하면서도 요격 미사일 'SM3'를 탑재한 해상 이지스함을 동중국해에 파견하고,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어트 미사일(PAC3)을 방위성이 있는 도쿄(東京) 이치가야(市谷)와 오키나와 본섬, 그리고 시키시마 제도의 일본 최서단 섬 요나구니시마(輿那國島)와 이시가키지마(石垣島)·미야코지마에 배치해 요격 태세를 갖췄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아울러 발사체를 탐지·추적해 궤도와 낙하지점을 예측하는 부대도 대비 태세를 갖췄고, 낙하시 위험물질 제거와 부상자 구호를 담당하는 부대도 오키나와에 파견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