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코는 광주광역시 우치공원에서 지난 6월 어린이대공원으로 전입됐으며, 지난 3월에 탈출했던 세로(수컷)와 함께 새내기커플로 시민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코코와 세로는 6월 전입 이후 단계별 친화훈련 등을 통해 조금씩 가까워지고 있었으며, 7월부터 부쩍 가까워진 모습을 보였다.
코코는 특이증상 없이 건강하게 생활해 왔으나, 지난 11일 아침 복부팽대 및 기립이 어려운 상태가 확인돼 대공원 동물원 수의사와 사육사들이 진료와 처치, 타동물원과 말전문병원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자문·협력하여 치료를 병행했다.
밤낮으로 이어진 치료 노력에도 불구하고 호전되지 않아 코코의 체력과 수술감당 가능 여부·시급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난 15일 오후3시 전문가회의(수의사 5명) 끝에 말전문병원(이천) 수술을 결정하고 16일 새벽 4시반~6시에 긴급 이송했으나 수술병원 도착 직후에 안타깝게 숨을 거뒀다.
부검 결과 사인은 산통에 의한 소결장 폐색 및 괴사로 말의 산통은 위장관 운동의 이상으로 인한 복통을 뜻한다. 말은 해부학적으로 장을 잡아주는 장간막이 잘 발달되지 않아 장이 쉽게 꼬이거나 움직일 수 있는 예민한 동물이다.
대공원 측은 원인 분석과 대책 수립을 위해 말 전문가와 동물원 전문가 자문을 실시했다. 이인형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는 "질병 발생 후 야생동물임에도 최대한 처치를 실시한 것으로 보이나, 안타깝게도 야생동물 특성상 질병의 진행 정도나 수술 등 예측이 어려워 결과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증상이 처음 나타났던 11일 전날에도 코코는 평상시처럼 방사장에서 특이사항 없이 시간을 보냈다. 조경욱 동물복지팀장(수의사)는 "코코에게서 평소 증상이 보이지 않았고 담당사육사가 최초 증상 확인 후 사망시까지 동물원 의료진들의 118시간 헌신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하게돼 너무나 안타깝다"고 말했다.
손성일 서울어린이대공원 원장은 "향후 동물원 진료 및 사육관리 등을 포함한 더욱 강화된 대책을 세우고, 전문가들의 동물복지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렴·반영해 개체수에 맞춰 동물원 면적을 넓히는 동물원 재조성사업을 조기에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