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행권 3분기 | 0 | /금융감독원 |
|
국내은행이 3분기에 15조원에 달하는 이자이익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도 5조4000억원에 이르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원 넘게 증가한 규모다.
다만 전분기보다는 수익성이 약화됐다. 순이자마진(NIM) 하락에 더해 금리상승으로 채권평가 및 매매손실 등 비이자이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2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중 은행권이 거둔 이자이익은 모두 14조8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5000억원가량 증가한 수치다.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이자이익은 44조2000억원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3조6000억원 늘었다.
올해 들어 3분기 연속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했지만, 대출 등 이자수익자산이 늘면서 이자이익도 증가한 것이다. 이자수익자산은 2분기 3119조8000억원에서 3분기 말 3157조원으로 37조2000억원 증가했다.
이자이익이 늘면서 국내은행들의 당기순익도 성장했다. 3분기 당기순익은 5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조2000억원 증가했다. 단 전분기와 비교하면 1조6000억원 줄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금리상승에 따른 채권 평가·매매손실 등으로 비이자이익이 9000억원 줄었고 지분 손상차손 등으로 영업외손익이 7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3분기 누적 순익은 19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5조4000억원 늘었다.
3분기 중 비이자이익은 8000억원으로 기록했다. 전분기보다 9000억원 감소한 수치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엔 1000억원 손실을 냈다.
은행권 3분기 판매비와 관리비는 6조4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000억원 늘었고, 대손비용은 2조원으로 6000억원 증가했다. 대손비용 증가는 2분기 중 한화오션 관련 거액 충당금 환입(1조2000억원)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이다.
3분기 누적 대손비용은 5조1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조원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은행 순익은 2022년 이후 금리상승 및 이자수익자산 증가 등으로 확대돼 왔지만, 올해 들어 순이자마진 및 ROA(총자산순이익률) 및 ROE(자기자본순이익률) 등 지표가 하락하는 등 수익성이 둔화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금리 장기화 및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 등에 따라 향후 은행의 대손비용 부담도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은행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