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암군은 농림축산식품부 공모 '2024~2026년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도비 152억 원을 확보했다고 4일 밝혔다.
농림부의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사업은, 고령화 및 노동력 부족, 기후위기와 농산물 가격 급락 등 농업·농촌이 직면한 위기를 지역 스스로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모사업으로 영암군은 충남 서산시, 경북 예천군과 이번 공모 최종 선정 전국 3개 지자체로 이름을 올렸다.
영암군은 공모에 대비해 올해 3월부터 전남도와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준비해온 결과 공모사업이 선정돼 2026년까지 총 2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덕진면 장선리 7.8ha에 임대형 스마트팜 4.36ha를 조성하고, 청년창업농 육성에 들어가게 된다.
임대형 스마트팜의 경우 초기 높은 투자비용이라는 진입장벽 때문에 창업에 엄두를 낼 수 없는 청년농업인에게 적정한 임대료를 받고 이 스마트팜을 임대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농업경영 기회 제공에서 재배기술 교육, 수익창출 및 초기 자본축적까지 종합 지원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영암군은 임대형 스마트팜에 18세~39세의 전남 청년농업인 2~3명이 팀을 이뤄 신청하면 0.4ha 이상씩 임대하게 된다. 기본 임대기간은 3년이고, 평가를 거쳐 최장 3년까지 연장해 주기로 했으며 임대료는 토지와 시설평가액의 1% 이상이고, 경작 특례방식 등을 적용해 영암군에서 추후 결정한다.
재배작물은 딸기·방울토마토·파프리카와 최근 시장에서 수요가 많은 샐러드용 엽채류를 권장한다. 스마트팜에는 생산량 증대와 작업 효율성, 재배작목 전환 용이성 등을 고려해 최첨단 시설을 갖춘 유리온실 10동이 들어선다.
딸기는 상하이동식 행잉베드 시스템으로 생산량 2배 증대 효과를, 토마토·파프리카는 행잉거터 시스템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다. 특히, 겨울철은 온화하고 여름철은 서늘한 영암군의 기후 특성에 적합한 친환경 고효율의 냉난방 공기열 히트펌프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해 연중 4계절 생산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영암군은 이런 최신 시스템으로 작물의 안정적 생산, 높은 시장경쟁력 확보, 청년창업농 소득 증대 등을 일궈내는 '영암형 스파트팜 모델'을 정착한 다음, 지역 전체에 전파할 계획도 세워두고 있다.